강홍립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한성부우윤, 순검사, 오도원수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군신(君臣)
내촌(耐村)
이칭
진녕군(晉寧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0년(명종 15)
사망 연도
1627년(인조 5)
본관
진주(晉州)
주요 관직
한성부우윤|순검사|오도원수
관련 사건
명나라 원병파견|정묘호란
내용 요약

강홍립은 조선시대 한성부우윤, 순검사, 오도원수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1560년(명종 15)에 태어나 1627년(인조 5)에 사망했다. 1597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을 시작했다. 광해군 재임시 명이 후금을 치기 위해 원병을 요청하자 오도원수로서 군사를 이끌고 출병했으나 연합군이 대패하자 후금에 투항했다. ‘형세를 보아 향배를 정하라’는 광해군의 밀명에 따른 것이었다. 포로로 억류되었다가 정묘호란 때 후금군의 선도로서 입국해 화의를 주선한 뒤 국내에 머물렀다. 역신으로 몰려 관직을 삭탈당했다가 사후에 복관되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한성부우윤, 순검사, 오도원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군신(君信), 호는 내촌(耐村). 강온(姜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 아버지는 참판 강신(姜紳), 어머니는 정유의(鄭惟義)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9년(선조 22) 진사가 되고, 1597년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로 급제, 설서(說書) · 검열(檢閱) 등을 거쳐, 1605년 도원수 한준겸(韓浚謙)종사관(從事官)이 되었다. 이해 진주사(陳奏使)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보덕(輔德)이 되고, 이듬해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을 거쳐 1614년 순검사(巡檢使)를 역임한 뒤 1618년에는 진녕군(晉寧君)에 봉해졌다.

이때 주1이 명나라 변경을 침입하는 등 세력을 확장하자, 명나라는 후금을 치기 위해 조선에 원병을 청해왔다. 조정에서는 후금을 의식하면서도 임진왜란 때 명나라가 원병을 보냈으므로 어쩔 수 없이 출병을 결정했다. 강홍립은 오도원수(五道元帥)가 되어 부원수인 김경서(金景瑞)와 함께 1만 3000여 군사를 이끌고 출병하였다. 1619년 명나라 제독(提督) 주2의 군과 관전(寬甸) 방면에서 합류해 동가강(佟佳江)을 따라 회인(懷仁)에서 노성(老城)으로 향했다.

이들 조 · 명 연합군은 일제히 공격을 시작해 앞뒤에서 적을 협격하기로 했다. 그러나 작전에 차질이 생겨 부차(富車)에서 대패했다. 이때 강홍립은 “조선군의 출병이 부득이 이루어졌다.”고 밝히고 남은 군사를 이끌고 후금군에 투항했다. 이는 출정 전 ‘형세를 보아 향배를 정하라’고 한 광해군의 밀명에 의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정을 모르는 조정에서는 강홍립의 관직을 박탈했다. 투항한 이듬해 조선 포로들은 석방되어 돌아왔으나, 김경서 등 10여 명과 계속 억류당하다가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후금군의 선도로서 입국해 강화(江華)에서의 화의를 주선한 뒤 국내에 머물게 되었다. 그러나, 역신으로 몰려 관직을 삭탈당했고 죽은 뒤에야 복관될 수 있었다.

참고문헌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주석
주1

중국에서, 1616년에 여진의 족장(族長) 누르하치가 흥경(興京)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1636년에 ‘청’으로 이름을 고쳤다.    우리말샘

주2

명나라 강서(江西) 남창(南昌) 사람. 자는 성오(省吾)고, 유현(劉顯)의 아들이다. 만력(萬曆) 초에 운남이동수비(雲南迤東守備)에 임명되었다. 유격장군(遊擊將軍)에 발탁되어 유자룡(劉子龍) 등과 함께 전면(滇緬)의 병사를 격퇴했다. 20년(1592) 부총병(副總兵)으로 병사를 이끌고 조선(朝鮮)에 가서 왜군을 방어하고, 어왜총병관(御倭總兵官)으로 승진했다. 귀국하여 사천총병관(四川總兵官)으로 파천선위사(播川宣慰使) 양응룡(楊應龍)의 반란을 진압했다. 좌도독(左都督)으로 승진했다. 25년(1597) 정유재란 때 남원(南原)에서 졌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배편으로 강화도를 거쳐 입국하여 전세(戰勢)를 확인한 뒤 돌아갔는데, 이듬해 대군을 이끌고 와서 도와주었다. 예교(曳橋)에서 왜군에게 패전하고, 왜군이 철병한 뒤 귀국했다. 47년(1619)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후금(後金)과 싸운 부차(富車) 전투에서 전사했다. 평생 수백 차례의 전투를 치르면서 위명(威名)이 천하를 진동했다. 전투 때마다 철도(鐵刀)를 휘두르며 날 듯이 돌진해 ‘유대도(劉大刀)’로 불렸다.    바로가기

집필자
이장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