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분권 5책. 필사본. 편자 또는 필사연대 모두 미상이며, 서문과 발문도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제1책에 「대학기의(大學記疑)」·「독용기의(讀庸記疑)」·「근사록기의(近思錄記疑)」, 제2책에 「독시기의(讀詩記疑)」·「독서기의(讀書記疑)」, 제3책에 「맹자기의(孟子記疑)」, 제4책에 「논어기의(論語記疑)」, 제5책에 「독역기의(讀易記疑)」 등이 수록되어 있다.
「대학기의」는 서(序)·편제(篇題)·경일장(經一章)·전수장(傳首章) 등 13개 편목, 「독용기의」는 35개편목, 「근사록기의」는 권1에서 권5까지 262개 편목, 「독시기의」는 설·도설·국풍(國風)·소아(小雅)·대아(大雅) 등 31개 편목, 「독서기의」는 서(序)·요전(堯典)·순전(舜典) 등 58개 편목, 「맹자기의」는 양혜왕장상(梁惠王章上)에서 진심장하(盡心章下)까지 14개 장구, 「논어기의」는 학이(學而)에서 요왈(堯曰)까지 20개 장구, 「독역기의」는 괘효사(卦爻辭)·계사전(繫辭傳)·설괘전(說卦傳)·서괘전(序卦傳)·잡괘전(雜卦傳)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원문을 다시 옮겨 적지 않고, 각 장구나 편목마다 필요한 부분만을 골라 해설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그리고 해설의 근거가 된 문헌이나 학자를 밝혀, 논변의 객관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대체로 인용된 문헌으로는 주희의 집주(集註)·혹문(或問)·어류(語類)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소개된 학자로는 중국의 주희를 비롯하여 호병문(胡炳文)·장식(張栻) 등과 우리나라의 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김창흡(金昌翕)·한원진(韓元震) 등 기호학파에 속하는 학자들의 이름이 보인다.
서술상의 특징은 편자 자신의 의견을 말할 때는 ‘접(接)’ 또는 ‘경접(更接)’ 등으로 시작하고, 원문의 해석이 어렵거나 논란되는 부분은 한글로 토를 달아 해설하였다는 점이다.
이 책과 비슷한 경의(經義)해설서로는 김장생의 『경서변의(經書辨疑)』가 있지만, 『시경』·『서경』·『주역』 등 삼경이 빠져 있고, 사서에 국한되어 있다. 경의해설서로 주목할 만한 책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