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서집설 ()

목차
관련 정보
경서집설
경서집설
유교
문헌
미상의 편자가, 『서경』에 관한 학자들의 해설과 함께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여 2권 2책으로 엮은 유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미상의 편자가, 『서경』에 관한 학자들의 해설과 함께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여 2권 2책으로 엮은 유교서.
내용

상·하 2권 2책. 필사본. 편자와 필사연대 미상. 서문과 발문도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제1책 첫머리에 목록이 있고, 이어 상권으로 우서(虞書)·하서(夏書)·상서(商書), 제2책은 하권으로 주서(周書)가 수록되어 있다.

「우서」는 요전(堯典)·순전(舜典)·대우모(大禹謨)·고요모(皐陶謨)·익직(益稷) 등 5개 편목에 도합 80개 절목(節目), 「하서」는 우공(禹貢)·감서(甘誓)·오자지가(五子之歌)·윤정(胤征)등 4개 편목에 도합 63개 절목, 「상서」는 탕서(湯誓)·중훼지고(仲虺之誥)·탕고(湯誥)·이훈(伊訓)·태갑(太甲)·함유일덕(咸有一德)·반경(盤庚)·열명(說命)·고종융일(高宗肜日)·서백감려(西伯戡黎)·미자(微子) 등 11개 편목에 모두 85개 절목, 「주서」는 태서(泰誓)·목서(牧誓)·무성(武成)·홍범(洪範)·여오(旅獒)에서 진서(秦誓)에 이르기까지 총 30개 편목에 237개 절목 등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앞의 목록에는 각 편목마다 고문(古文)과 금문(今文)의 유무를 표시하고 있다. 해설방법으로는 먼저 우리나라의 여러 학자들의 설을 소개한 다음,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여기에 나오는 학자로는 이황(李滉)을 비롯하여 조목(趙穆)·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유계(兪棨)·임영(林泳)·김창흡(金昌翕)·한원진(韓元震)·송문흠(宋文欽)·임성주(任聖周)·유숙기(兪肅基) 등이 있는데, 그 중 이황·유계·임성주 등의 학설을 가장 많이 소개하고 있다. 한편, 이황과 조목의 경의해석부분은 대개 한글로 토를 달거나 번역된 형태로 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