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경재선생문집
경재선생문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하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하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3책. 목판본. 1826년(순조 26) 초간되었고, 1856년(철종 7)에 중간되었으며, 현전본은 1919년 후손 술효(述孝)·순효(純孝)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심춘(柳尋春)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후손인 인혁(寅爀)·대성(大成)·상우(尙禹)·술효와 노상직(盧相稷) 등의 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35수, 권2에 소·서(序) 각 1편, 기 4편, 잠·도(圖)·묘지명 각 1편, 권3∼5는 부록으로서 세계·연보·사제문(賜祭文)·행장·신도비문 각 1편, 화상찬(畫像贊) 2편, 봉안상향문(奉安常享文) 10편, 청액소(請額疏) 3편, 상량문 2편, 비명(碑銘) 1편, 서(序) 3편, 시첩(詩帖) 4편, 시 58수, 유묵(遺墨) 4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가운데 「시연연구(侍宴聯句)」는 1418년(세종 즉위년) 세종이 태종을 상왕으로 모시고 베푼 연회에서 영돈녕(領敦寧) 유정현(柳廷顯), 영의정 한상경(韓尙敬) 등과 군신간에 화답한 시로서, 지위를 떠나 시상(詩想)을 나타내었다. 이밖에 「강릉제영(江陵題詠)」·「진주제영(晉州題詠)」·「기성삼십운(箕城三十韻)」 등 명승고적을 묘사한 시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기록되어 있다.

소의 「척불소(斥佛疏)」는 1423년 대사헌으로서 사사(寺社) 및 사전(寺田)을 줄일 것과 승직(僧職)의 폐지를 건의한 내용이다. 서의 「경상도지리지서(慶尙道地理志序)」는 1425년 경상감사로 있을 때 경주에 보존되어 있던 지리지를 간행하며 쓴 것이다.

잠의 「자경잠(自警箴)」은 사람의 성품이 부귀하게 되면 교만해지기 쉬워 화를 초래하게 됨을 경계한 내용으로, 그의 청백함을 엿볼 수 있다.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