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암문집 ()

목차
관련 정보
고암문집
고암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세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9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세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4책. 석판본. 1969년 그의 조카 병하(秉河)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사(辭) 1편, 시 268수, 소 1편, 권3에는 서(書) 45편, 권4·5에 잡저 6편, 서(序) 14편, 기 20편, 발 19편, 잠명송(箴銘頌) 5편, 상량문 4편, 고유문 4편, 애사 2편, 제문 19편, 권6에 묘갈명 17편, 권7에 묘지명 4편, 행장 8편, 유사 1편, 부록으로 가장(家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자소(自笑)」는 자신의 학문이 미흡함을 반성하는 뜻이 담겨 있고, 「희음일절요정만포숙낙중여안(戱吟一絶遙呈晩圃叔洛中旅案)」은 노처녀를 소재로 삼은 희작(戱作)으로 흥미를 끌게 한다.

소의 「청참오적물허왜청소(請斬五賊勿許倭請疏)」는 1905년 을사조약을 당하여 상소한 것인데, 일본에 대한 굴욕적인 협약을 깨고 을사오적을 참하여 민족자존의 대의를 밝힐 것을 요청한 내용으로, 우국충정이 담긴 글이다.

잡저의 「한명제구불법론(漢明帝求佛法論)」은 중국의 불교역사를 말하고 역대왕조에 불교가 끼친 영향을 비판적으로 파악, 유교를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글이다. 「양화설(養禾說)」은 제초(除草) 등 농사짓는 방법을 설명한 글이다. 이밖에 기행문인 「유주왕산록(遊周王山錄)」·「동유록(東遊錄)」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원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