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 ( )

목차
관련 정보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경복궁 내)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경복궁 내)
건축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쌍사자 석등. 보물.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쌍사자 석등. 보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43m. 원래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에 있었으나 1959년 현위치로 옮겼다. 방형 지대석 위에 2매로 된 장방형 하대석이 놓였는데, 측면에는 각각 안상(眼象) 2좌씩이 장식되었을 뿐 연화의 조각은 없다.

그 위의 중석은 복잡한 구조이지만 사자 두마리가 주가 되고 있다. 사자는 판석에 붙여서 조각하였는데, 좌우에서 앞발을 앞으로 내밀고 웅크리고 앉아 서로 마주보는 형상이고, 그 사이에 운문(雲文)을 양각하였는데 등 위로 구름이 솟아올라서 상층부는 사자의 등이 아닌 구름이 받치고 있는 형상이다.

다시 그 위에는 두개로 된 간주(竿柱)가 놓였는데, 밑에는 운문이 조각된 얕은 돌이 놓이고, 위에는 중앙에 팔각형의 넓은 마디가 있는데, 부등변팔각형의 석재를 얹되 이 마디에서 위와 아래를 향하여 비스듬히 너비를 넓히는 특이한 형태를 만들었다.

상대석은 부등변팔각형으로 큼직큼직한 복엽(複葉)의 앙련(仰蓮)이 조각되고 밑에는 2단, 위에는 1단의 높은 굄이 마련되었다. 화사석(火舍石 : 석등의 점등하는 부분)도 부등변팔각형으로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표현되었고, 화창(火窓)은 넓은 면에만 뚫었다. 옥

개석 이상은 없어졌으며, 우리나라 쌍사자석등의 사자가 모두 입상인데, 이 석등은 웅크리고 앉은 모습이 특징이다. 그러나 평면구성에서는 일관성이 없다. 조각수법에서도 고려시대의 특색이 잘 나타나 있으며, 건립연대는 10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寶物篇)文化財大觀-石造』(문화재청, 2004)
『석등조사보고서』 II-이형식편(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문화재대관』 1-국보 1-(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국보』 7-석조-(정영호 편, 예경산업사, 1983)
「여주 고달사지 8차 발굴조사 보고서」(이승연, 『高達寺址』 4, 驪州郡 京畿文化財團 京畿文化財硏究院, , 2016)
집필자
진홍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