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고사부리성 ( )

정읍 고사부리성 전경
정읍 고사부리성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석축 성곽. 산성.
이칭
이칭
고부산성(古阜山城)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정읍 고사부리성(井邑 古沙夫里城)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2008년 05월 28일 지정)
소재지
전북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산1-1번지 일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석축 성곽. 산성.
개설

정읍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은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에 있는 해발 132m의 성황산에 자리하며, 성황산과 그 서쪽에 위치한 해발 126m의 봉우리를 감싸고 있는 삼국시대에 축성된 포곡식산성이다. 고사부리성은 ‘고부산성(古阜山城)’이라고도 하며, 전체적인 형태는 북동-남서방향으로 길게 축조된 장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둘레는 1,050m, 서-동 장축길이는 400m, 북-남 단축길이는 180m이며, 성 내부의 면적은 63,484㎡이다. 동문지에서 북문지까지의 동서변 길이는 327m, 성벽의 높이는 10m 내외이며, 안쪽 둘레로 토루를 쌓고 폭 10m 내외의 회랑도가 있다. 북문지에서 수구문까지의 길이는 273m이며, 남서단에 서문지가 있는데 수구문에서 서문까지 길이는 173m이다. 북서변의 성벽 길이는 446m이고, 북문지에서 남문까지의 길이는 244m이다. 2008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역사적 변천

정읍고사부리성은 삼국시대의 신라에 의해 초축되었거나 아니면 고려시대 현종대 축성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발굴조사 결과 백제시대에 처음 축조되었고, 백제의 오방(五方) 중에서 중방성(中方城)으로 확인되었다. 이후 1765년(영조 41)에 지금의 고부초등학교 자리로 이전하기 전까지 이 지역의 치소(治所) 역할을 담당하였다. 현재 고부초등학교에는 2005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된 ‘고부관아터’가 위치하고 있다.

내용

고부구읍성은 2000년에 지표조사를 실시한 이후 현재까지 모두 5차에 걸쳐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1차 발굴조사에서 13동의 건물지와 담장열, 초석 등이 확인되었고, 2차 발굴조사는 성곽의 초축과 관련하여 성문과 성벽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3차 발굴조사는 문지(門址), 수구(水口), 성벽 등의 성곽시설과 식수원에 대하여 실시되었다.

성벽은 협축법에 의해 축조하였는데, 석재는 외면을 장방형으로 정교하게 다듬은 성돌을 이용하여 줄쌓기 방식으로 축조하였으며. 성돌의 크기도 거의 일정하다. 외벽은 그랭이 기법을 사용하여 성석들 사이에 틈새가 거의 확인되지 않을 만큼 정연하게 쌓았다.

문지는 남 · 북 · 서문지 등 3개소가 확인되었다. 특히 남문지는 성 내부로의 진입이 가장 용이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성내의 주요시설과도 멀지 않은 곳에 있어 정문의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북문지는 두세 차례의 개 · 보수가 이루어졌으며, 백제시대에 축조한 문지는 어긋문 형식으로 확인되었다.

집수정은 추정 수구지로부터 남동쪽 8m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곳은 성내에서 지형이 가장 낮은 지역으로 우수가 집중되는 곳이다. 초축 집수정의 평면 형태는 방형으로 추정되고 백제시대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집수정의 북벽 · 동벽 바닥과 서벽의 안쪽 면에서 삿자리가 확인되었다. 이는 축조시 풍화암반층을 일부 파내고 삿자리를 바닥과 벽면에 깐 다음 회갈색의 점토를 붙이고 석축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러한 공법은 현재까지 확인된 예가 없다. 2차 집수정은 동서로 긴 장방형으로 초축 집수정 위에 축조되었으며,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사부리성에서는 백제의 지방통치체제를 파악할 수 있는 명문와가 출토되었다. 즉 1차 발굴조사에서는 ‘홍치(弘治)’명 암막새와 1734년(영조 10)에 해당되는 ‘옹정(擁正) 12년’ 암막새 등이 출토되었다. 그리고 2차 발굴조사에서는 북문지에서 ‘상부상항(上⻏上巷)’명이 새겨진 인장와가 출토되었으며, 3차 발굴조사에서는 집수정에서 기마병 선각와, 신라 왕경의 6부 조직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본피관(本彼官)’명 기와가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이러한 명문와를 바탕으로 고사부리성이 백제의 중방성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징

정읍고사부리성은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이였던 ‘고부구읍성’에서 2008년 5월 국가사적으로 승격되어 새롭게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정읍고사부리성은 백제의 지방통치체제에서 중방성으로서 지방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삼국통일 이후에도 이 지역의 정치 · 경제 · 행정 ·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지속적으로 담당하였다. 또한 3차 발굴에서는 기마무사의 모습이 음각으로 새겨진 백제시대의 기와편이 출토되었다. 여기에는 양 깃이 있는 투구와 경갑, 그리고 몸에 입은 갑옷 등 무사의 모습이 새겨져 있고, 깃꽂이와 마갑 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기와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확인된 것으로 고대 군사사와 복식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백제의 중방문화, 고사부리성에서 찾다』(전북문화재연구원, 2015)
『정읍 고사부리성: 종합보고서(1∼5차 발굴조사)』(전북문화재연구원, 2013)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성곽·봉수편』(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정읍 고부구읍성』 Ⅰ(전북문화재연구원, 2007)
「백제 지방통치조직의 변화와 중방성」(김주성, 『백제문화』 55, 2016)
「호남지방의 백제산성」(최인선, 『한국성곽학보』 26, 2014)
「정읍 고부의 지역적 형성과 변화 과정: 고·중세 시기를 중심으로」(김병남, 『전북사학』 31, 200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