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리술

목차
식생활
물품
문화재
좁쌀로 빚은 제주도 지방의 전통 술.
목차
정의
좁쌀로 빚은 제주도 지방의 전통 술.
내용

1995년 제주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제주도는 예나 지금이나 논이 매우 적으므로 쌀로 술을 빚지 못하고 밭 곡식인 조로 빚었다.

성읍마을 오메기술도 조로 빚은 술이고, 이 술도 조로 빚는데 오메기술은 증류를 하지 않은 청주이고 고소리 술은 증류를 한 소주이다. 만드는 법은 먼저 밀과 보리가루와 물을 가루 4되에 물 8홉의 비율로 섞어 누룩을 만든다.

누룩은 언제라도 빚을 수 있지만 건조에 적당한 음력 8월이 최적기이다. 8시간 정도 물에 우려두었던 메좁쌀을 시루에서 90분간 쪄서 술떡을 만든다. 메좁쌀만을 고집하는 것은 솥에 넣고 증류할 때 솥바닥에 잘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술떡을 도고리에 부어 넣어 식힌 뒤 누룩가루와 물을 간간이 뿌려주며 손으로 잘 젓는다. 술항아리에 이것을 담고 두허벅 정도의 물을 부어 발효시킨다. 동짓달에 담근 술독은 이듬해 4월까지 묻어 둔 채 웃국은 청주로 떠마시기도 한다.

술독에 묻어둔 술밑을 솥에 넣어 고소리(소줏고리)에서 소주를 고아내린다. 양조주가 될 경우에는 물을 조금 타 무르게 해서 솥을 가득 채울 수도 있다.

보통 40되들이 술독에 소주를 빚기위한 술밑을 담아두기 위해서는 메좁쌀 12되, 누룩을 만들 밀과 보리가 10되정도 소용된다. 제조시기는 7∼8월 이외에는 언제라도 가능하나 새좁쌀로 빚는 것이 가장 좋다.

집필자
유애령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