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리술

목차
식생활
물품
문화재
좁쌀로 빚은 제주도 지방의 전통 술.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고소리술(고소리술)
지정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종목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무형유산(1995년 04월 20일 지정)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좁쌀로 빚은 제주도 지방의 전통 술.
내용

1995년 제주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제주도는 예나 지금이나 논이 매우 적으므로 쌀로 술을 빚지 못하고 밭 곡식인 조로 빚었다.

성읍마을 오메기술도 조로 빚은 술이고, 이 술도 조로 빚는데 오메기술은 증류를 하지 않은 청주이고 고소리 술은 증류를 한 소주이다. 만드는 법은 먼저 밀과 보리가루와 물을 가루 4되에 물 8홉의 비율로 섞어 누룩을 만든다.

누룩은 언제라도 빚을 수 있지만 건조에 적당한 음력 8월이 최적기이다. 8시간 정도 물에 우려두었던 메좁쌀을 시루에서 90분간 쪄서 술떡을 만든다. 메좁쌀만을 고집하는 것은 솥에 넣고 증류할 때 솥바닥에 잘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술떡을 도고리에 부어 넣어 식힌 뒤 누룩가루와 물을 간간이 뿌려주며 손으로 잘 젓는다. 술항아리에 이것을 담고 두허벅 정도의 물을 부어 발효시킨다. 동짓달에 담근 술독은 이듬해 4월까지 묻어 둔 채 웃국은 청주로 떠마시기도 한다.

술독에 묻어둔 술밑을 솥에 넣어 고소리(소줏고리)에서 소주를 고아내린다. 양조주가 될 경우에는 물을 조금 타 무르게 해서 솥을 가득 채울 수도 있다.

보통 40되들이 술독에 소주를 빚기위한 술밑을 담아두기 위해서는 메좁쌀 12되, 누룩을 만들 밀과 보리가 10되정도 소용된다. 제조시기는 7∼8월 이외에는 언제라도 가능하나 새좁쌀로 빚는 것이 가장 좋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