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송화주 ( )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송화주 / 이숙경
안동 송화주 / 이숙경
식생활
물품
문화재
솔잎을 섞어 빚은 경상북도 안동지방의 전통술.
목차
정의
솔잎을 섞어 빚은 경상북도 안동지방의 전통술.
내용

1993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술은 안동의 전주(全州)유씨 무실파 정재종택(定齋宗宅)에서 대대로 빚어온 가양주이다. 봉제사와 접빈객에 사용되어 왔다.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고증하기 어렵다. 그러나 정재 유치명(柳致明)시대 무렵에는 제주로 써왔다고 문중에 구전한다.

광산김씨 예안파 문중에 전해지는 ≪수운잡방 需雲雜方≫에는 송엽주 만드는 법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솔잎 여섯 말과 물 여섯 말을 두 말이 될 때까지 끓여서 찌꺼기와 기름을 없앤다. 백미 한 말을 깨끗하게 씻어 곱게 빻은 뒤에 끓여 놓은 두 말의 물에 넣어서 죽을 만들고 식기를 기다려 좋은 누룩 한 되와 섞어 항아리에 넣는다. 삼칠일 후에 이 술을 마시면 모든 질병이 즉시 낫는다.”

안동송화주를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 해가 지난 밀과 당년에 추수한 멥쌀을 사용하여 누룩을 빚는다. 밀 한 되를 기준으로 해서 잘 씻은 멥쌀 반 홉 정도를 골고루 섞은 뒤 곱게 빻아 물로 반죽하여 따뜻한 아랫목에 5일간 띄운다.

그런 다음 자연상태로 방에 두었다고 25일이 지난 후에 꺼내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이 누룩을 곱게 빻은 가루와 찹쌀·멥쌀을 반반 섞어 찐 고두밥으로 밑술을 빚는다. 여기에 덧술을 한다.

덧술을 하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밑술에다 누룩가루, 찹쌀에 솔잎을 켜켜로 넣고 시루에 찐 고두밥을 골고루 섞는다. 이때에 덧물은 거의 쓰지 않는다. 두 번째는 멥쌀과 옥수수를 보드랍게 빻은 뒤에 그 가루에 솔잎을 켜켜로 넣고 시루에 쪄서 이를 차게 식혀 밑술에 넣는다. 세 번째는 두 번째와 같다. 그러나 옥수수를 사용하지 않고 찹쌀을 섞는다. 술이 되면 청주를 떠내고 남은 것으로 소주를 만들거나 아예 청주를 이용하여 소주를 만든다.

안동송화주는 막지를 이용하여 만드는 법이 있다. 막지 반 되에 물 한 되를 섞은 후에 솥에 넣어 끓인다. 끓으면 다시 막지를 보충한 뒤에 눌지 않도록 주걱으로 잘 저어 준다. 김이 나면 소주고리를 얹는다.

이 때에 솥과 고리의 틈은 보릿가루반죽으로 바르며 놋그릇이나 다른 용기를 소주고리 위에 올려 놓은 뒤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바른다. 청주를 사용하는 것은 제조방법은 같으나 소주의 생산이 용이하고 양이 많이 나는 특징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유애령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