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언 ()

목차
언어·문자
개념
문장에 쓰인 단어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는 품사 분류의 상위 개념. 걸림씨.
이칭
이칭
걸림씨
목차
정의
문장에 쓰인 단어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는 품사 분류의 상위 개념. 걸림씨.
내용

기능에 따른 품사 분류의 상위 개념에는 관계언 이외에 체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이 있다. 관계언은 일반적으로 자립성이 있는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관계언의 기본 기능은 주로 체언에 붙어 그 체언이 다른 문장 성분과 맺는 관계, 곧 격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에 해당하는 것이 격조사이다.

그러나 서술격 조사로 분류되는 ‘이다’는 그 기본 기능이 체언에 붙어 그 자체를 서술어로 만드는 데 있으므로 이를 조사의 하나로 보아야 할 것인지 하는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조사에는 격조사 이외에도 보조사, 접속조사가 있는데, 정의상 이들 모두는 관계언에 속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보조사, 접속조사가 맺는 관계가 무엇인지는 분명치 않다. 일반적으로 보조사는 문법적 관계보다는 어떤 특수한 의미를 더해주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한국어 표준 문법』(유현경, 한재영, 김홍범, 이정택, 김성규, 강현화, 구본관, 이병규, 황화상, 이진호, 집문당, 2019)
『한국어 문법 총론 1』(구본관, 이선웅, 이진호, 박재연, 황선엽, 집문당, 2015)
『국어학개설(國語學槪說)』(이익섭, 학연사, 1986)
『표준국어문법론』(남기심·고영근, 탑출판사, 1985)
『국어문법론(國語文法論)』(이익섭·임홍빈, 학연사, 1983)
집필자
한동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