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음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지 않고 조음되는 소리. 청음.
이칭
이칭
청음
목차
정의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지 않고 조음되는 소리. 청음.
내용

안울림소리라고도 한다. 유성음 곧 울림소리에 대립되는 소리이다. 국어의 경우 모든 모음 및 유음(流音)·비음(鼻音)을 제외한 평음의 파열음(破裂音) ㅂ[p]·ㄷ[t]·ㄱ[k], 파찰음(破擦音) ㅈ[{{%201}}], 마찰음 ㅅ[s], 경음(된소리)의 파열음 ㅃ[{{%230}}]·ㄸ[{{%231}}]·ㄲ[{{%232}}], 파찰음 ㅉ[{{%233}}], 마찰음 ㅆ[{{%234}}], 격음(거센소리)의 파열음 ㅍ[{{%146}}]·ㅌ[{{%189}}]·ㅋ[{{%183}}], 파찰음 ㅊ[{{%203}}], 마찰음 ㅎ[h]등이 무성음에 속한다.

이들 국어의 무성음은 이와 대립되는 유성음을 가지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국어에 위의 무성음에 대립되는 유성음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결코 아니다.

어중(語中)의 유성적 환경에 무성음이 나타날 때 유성음으로 동화되는, 즉 유성음화현상을 보이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ㅂ[p]은 본래 무성음이지만 이 음의 앞뒤에 유성음이 나타날 경우, ‘이발[ibal]’에서 보듯이 유성음[b]로 변한다. 이러한 유성음화는 모든 무성음에 걸쳐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ㅂ[p]·ㄷ[t]·ㄱ[k]이[b]·[d]·[g]로 변화하는 것에 국한된다.

이들이 유성음화된다고 하더라도 이 유성음들은 단지 음성적 차원(音聲的次元)에 머무르는 것이고, 음운론적 층위(音韻論的層位)에서 음소(音素)로 정립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들 [b]·[d]·[g]는 상보적 분포(相補的分布)에 의한, 무성음 /p/·/t/·/k/의 변이음(變異音, allophone)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차용 이전의 언어에서 유성평음이었던 ‘bus, gum’ 등이 국어에서 받아들일 때 ‘뻐스, 껌’ 등으로 실현되는 것은 국어의 평음에 유성음이 음소로서 존재하지 않음에 기인하는 현상인 것이다.

현대 국어의 무성음의 어말(語末) 실현은 7개에 국한된다. 곧, ㅂ·ㅃ·ㅍ은 ㅂ으로, ㅈ·ㅉ·ㅊ, ㄷ·ㄸ·ㅌ, ㅅ·ㅆ, ㅎ 등은 모두 ㄷ으로, ㄱ·ㄲ·ㅋ은 ㄱ으로 중화(中和)되어 실현된다.

이런 현상을 말음법칙 혹은 받침법칙이라고 한다. 무성음이 유성적 환경에서 유성음화되는 것과 반해서 유성음이 유성성을 잃고 무성음이 되는 현상도 있다. 이를 무성음화라고 하는데, 이 현상 역시 유성음화처럼 무성적 환경에서 유성음이 무성음으로 변하는 일종의 동화현상이다.

이럴 경우 원래의 유성의 음성기호에 [˚]나 [{{%235}}]표를 표시하여 무성음화되었음을 나타낸다. 영어의 예를 들면, ‘absent[æ{{%153}}sent]’라는 낱말에서 본래 유성음이었던 [b]가 뒤에 오는 무성음[s]와 동화되어 무성음화되었음을 보여준다. 국어에는 어중에서 유기음(有氣音)에 후행하는 모음이 수의적으로 무성음화되는 일이 있다(예 : ‘칙칙폭폭’의 [이]와 [오]모음).

참고문헌

『국어학개론』(어문학연구회 편, 수도출판사, 1965)
『영어음성학』(양동휘, 범한서적주식회사, 1967)
『한국어음운론』(정연찬, 개문사, 1980)
집필자
한동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