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리

목차
관련 정보
광주리
광주리
식생활
물품
싸리채나 댓가지로 엮어 만든 부엌 세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싸리채나 댓가지로 엮어 만든 부엌 세간.
내용

농가에서는 주로 운반구로 쓰인다. 바닥을 판판하게 하여 울타리를 둥글게 엮으며 굽이 있다. 큰 것은 바닥지름이 65㎝에 달하고, 작은 것은 30㎝ 미만인 것도 있어서 반짇고리로 쓰일 정도이다.

광주리는 싸리채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소품에 있어서는 광대싸리 같은 유사재료를 활용하는 지방도 있고 혹은 대나무로도 만든다. 싸리는 그해에 곧게 자란 참싸리를 8월경에 베어 곧 껍질을 벗겨 쓰며, 가을 늦게 벤 것은 쪄내서 벗겨야 하는데 재질이 누런 기를 띠게 된다.

싸리제품에는 바구니·다래끼·채반 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광주리겨르기가 가장 어려운 솜씨에 속하는 편이다. 역사적으로 광주리는 재료와 형태가 다양했던 것으로 보인다.

17세기에 간행된 ≪박통사언해≫에서는 광조릿디플[筐兒草]이라 하였고, ≪역어유해 譯語類解≫에서는 삿광조리[席龍子]·대광조리[竹簍子]·채광조리[荊筐]·드는 광조리[提籃] 등이 열거되었으며, 곡식씨 씻는 광조리[靑箱]라는 기록도 보인다.

그러나 19세기 이후의 문헌에서는 광(筐)·비(篚)를 한결같이 광주리라 주석하였다. 또한, 농사짓는 도구로는 광주리에 끈을 매어 들기도 하였던 것 같으나, 요사이에는 머리에 이고 다니거나 음식물과 옷 등을 서늘하게 보관하는 그릇으로 용도가 제한되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