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

목차
제도
조선시대 호조 · 형조 · 관상감 · 전의감 · 혜민서 · 사역원 등에 설치한 종6품의 잡학 기술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호조 · 형조 · 관상감 · 전의감 · 혜민서 · 사역원 등에 설치한 종6품의 잡학 기술관직.
내용

산학교수 1인, 율학교수 1인, 천문학교수 1인, 지리학교수 1인, 의학교수 4인, 한학교수(漢學敎授) 4인이 각각 설치되어 있었다.

이들은 모두 해당분야의 잡과 출신들로 임명되었고, 잡학의 교육을 통해 기술관들을 양성하는 임무를 맡았다. 문관들 중에서 이러한 전문분야에 조예가 있는 사람을 ‘겸교수’로 임명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조선초기(朝鮮初期)의 기술관(技術官)과 그 지위(地位)」(이성무, 『유홍렬박사화갑기념논총』,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