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잡사 ()

목차
구비문학
문헌
조선후기 위모미열 · 삼부헌수 · 구역야질 등 86편의 이야기가 수록된 설화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위모미열 · 삼부헌수 · 구역야질 등 86편의 이야기가 수록된 설화집.
내용

문자 그대로 ‘잠을 깨게 하는 잡된 이야기를 모아놓은 책’이라는 뜻으로서 『고금소총(古今笑叢)』에 수록되어 있다.

위모미열(謂母迷劣)·삼부헌수(三婦獻壽)·구역야질(狗亦冶質)·식병막엄(食餠莫掩)·졸문이소(拙文貽笑)·부수망발(父晬妄發)·별기조곡(別妓祖哭)·음양수장(陰陽隨長)·혜녀탈루(慧女脫累) 등 86편의 설화가 수록되어 있다.

각 편의 길이는 4행으로 된 짧은 것으로부터 41행으로 된 긴 것까지 있다. 그러나 평균 길이는 20행 이내로 짧은 편이다.

전체의 내용을 보면, 몇 편의 동물담·신이담·일반담을 제외하면 거의가 소화(笑話)에 속하는 것으로, 그 중에도 특히 음담패설이 반을 차지한다.

참고문헌

『조선후기문헌설화(朝鮮後期文獻說話)의 연구(硏究)』(조희웅, 형설출판사, 1981)
『고금소총(古今笑叢)』(민속학자료간행회, 195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