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공실기 ()

유교
문헌
조선시대 무신 전상의의 유고와 행장 · 묘갈명 등을 수록하여 1855년에 간행한 실기.
정의
조선시대 무신 전상의의 유고와 행장 · 묘갈명 등을 수록하여 1855년에 간행한 실기.
편찬/발간 경위

1855년(철종 6) 전상의의 후손 전수량(全守良) 등이 나주에서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전수량의 발문과 간기가 있다.

서지적 사항

목활자본. 1권 1책. 영남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수에 목록이 있고, 이어서 인묘조치제문(仁廟朝致祭文)·송자어록(宋子語錄)·손재어록(遜齋語錄)·유장(儒狀)·경렬사문헌록(景烈祠文憲錄)·경렬사배향봉안문(景烈祠配享奉安文)·축문(祝文)·경렬사위차품제(景烈祠位次稟題)·광주읍지(光州邑誌)·실록찬수관이엽몽감록(實錄撰修官李曄夢感錄)·이공강윤함평전응해소유행록(李公剛潤咸平全應海所遺行錄)·신도비문(神道碑文)·지곡정참봉시(芝谷鄭參奉詩)·구성공행록후서(龜城公行錄後敍)·구성공유적서(龜城公遺蹟敍), 잡저(雜著) 10편, 재구성시감회우음(宰龜城詩感懷偶吟)·행적서후(行蹟書後) 등이 실려 있으며, 부록으로 전경원(全慶元)의 행장(行狀)과 묘갈명(墓碣銘)이 있다. 전상의의 유문으로는 잡저 10편과 시 1수가 있을 뿐이다.

「인묘조치제문」은 1627년(인조 5) 전상의가 건주(建州)에서 야인들과 싸우다가 전사하였을 때, 인조가 예조정랑 임간(林揀)을 보내어 치제한 글이다. 「송자어록」 및 「손재어록」은 송시열(宋時烈)과 박광일(朴光一)의 문집에서 각각 전상의의 기사를 뽑아 수록한 것이며, 「실록찬수관이엽몽감록」은 1769년(영조 45) 이엽의 꿈에 전상의가 나타나 대화를 나누었다는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잡저 가운데에는 서(序)가 많다. 그 중 「애석주서(哀石洲序)」는 당시 시로 유명했던 권필(權韠)에 대해 그 시문의 훌륭함을 찬양하고, 권필의 억울한 죽음을 애도한 내용이다. 「답임무숙서(答任茂叔序)」는 변려문(騈儷文)에 능했던 임숙영(任叔英)에게 답서한 것이며, 「송이상고부일본서(送李相古赴日本序)」는 1617년(광해군 9) 일본에 통신사로 떠나는 친구에 대한 송서(送序)이다.

「재구성시감회우음」은 전상의가 구성부사로 재직하고 있을 때 지은 시로, 평생 무인으로 변방을 지키는 자신의 쓸쓸한 감회를 나타내고 있다.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