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시급무 ()

목차
관련 정보
구시급무
구시급무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성시가 여러 지방의 수령을 지내며 보고 들은 백성의 고통을 해소하기 위해 1675년에 숙종에게 건의한 시무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성시가 여러 지방의 수령을 지내며 보고 들은 백성의 고통을 해소하기 위해 1675년에 숙종에게 건의한 시무책.
내용

1책. 필사본. 저자는 인조와 숙종대에 걸쳐 여러 지방의 수령을 지내는 동안 직접 보고 들은 민중의 고통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숙종에게 건의한 시무책(時務策)이다.

‘구시급무’란 어려운 시국을 구제하기 위한 시급한 대책이라는 뜻이다. 모두 11장의 한지에 붓글씨로 쓰여 있다.

내용은 왕으로 하여금 옛 성군을 본받아, 백성을 아끼고 사랑하기를 부모가 자식에게 하듯 하여 헐벗고 굶주리지 않게 하는 것이 급선무이며, 이러한 시책을 펴기 위해서는 간신과 소인배를 멀리하고, 목숨을 걸고 바른말을 서슴지 않는 충신을 등용하여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런 논지를 전개하는 데는 주로 『상서(尙書)』·『논어』·『맹자』·『중용』·『대학』 등의 경서와 송나라 채침(蔡沈)의 말을 원용하였다. 결론에서는, 첫째 하늘과 땅의 생물지심을 본받을 것(體天地生物之心), 둘째 정치의 목적은 백성을 기르는 데 둘 것(政在養民), 셋째 백성을 기르는 데는 절목을 우선할 것(養民莫先於節目), 넷째 군자와 소인을 분별할 것(辨君子小人) 등 다섯 조목을 들고 있다.

이 시무책이 승정원에 접수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시무책 끝부분에 “1675년 2월 통훈대부 전행진산군수 신 이성시가 삼가 엎드려 올립니다(乙卯二月日 通訓大夫 前行珍山郡守 臣 李聖時謹封拜手稽首以獻).”라고 명기되어 있으나, 『숙종실록』 을묘 4월조에는 필자의 이름으로 된 상소가 있을 뿐 이 시무책은 발견되지 않는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