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전동요선 ()

현대문학
문헌
1940년 김소운이 전승동요를 수집 · 정리하여 간행한 동요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40년 김소운이 전승동요를 수집 · 정리하여 간행한 동요집.
서지적 사항

문고본. 206면. 1940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발행.

개설

엄격한 뜻으로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펴낸 전승동요집이라고도 볼 수 있다. 편자의 『조선구전민요집(朝鮮口傳民謠集)』에 실린 자료 가운데에서 가다듬어진 동요만을 간추려내어 꾸민 것이다. 또한, 김소운은 1933년에 『조선동요선(朝鮮童謠選)』(암파문고)을 일본어로 낸 바 있는데, 이 책과는 서로 자매편이다. 이 책에서는 엮은이의 뜻에 따라 자료 각 편마다 제목을 붙였고, 같은 내용의 자료들을 계속해서 나열했으며, 수집된 지역의 도명(道名)을 각각 밝혔다.

내용

자료는 그 제재에 따라 부모·형제, 천체·기상, 충조(蟲鳥), 주창(呪唱)·동작(動作), 풍소(諷笑)·해학(諧謔), 유희(遊戱), 잡(雜), 동녀요(童女謠), 추모(追慕) 등으로 나누고 그 순서에 따라 수록했다. 책 말미에는 자료 각 편별로 차례를 덧붙였다.

대체로 음보단위로 띄어썼으며 2음보 1행으로 표기했다. 이 책에 수록된 자료는 엮은이 스스로 수집한 것이 아니라, 이 책의 바탕이 되는 『조선구전민요집』은 그가 1929년과 1930년매일신보사(每日申報社)에 근무할 때 독자들이 제공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전승동요만을 집중적으로 수집, 정리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했던 실정이므로, 이 책은 우리나라 전승동요의 대강을 살피는 데 적지않은 가치를 지닌다.

또, 우리나라 전승동요의 분류를 시도한 바가 없었던 당시에 제재에 따라 분류한 것은 하나의 길잡이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동요(童謠)」(김영돈,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속대관』6, 1982)
『朝鮮童謠選』(金素雲, 岩派書店, 1933)
『朝鮮口傳民謠集』(金素雲, 日本 第一書房, 193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