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인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 경성부민을 선동해 반란을 일으킨 주모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592년(선조 25)
본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 경성부민을 선동해 반란을 일으킨 주모자.
생애 및 활동사항

본시 전주에 살다가 죄를 지어 회령으로 유배되었다. 뒤에 회령부의 아전으로 들어가 재산을 모았으나, 조정에 대해서 원한이 많았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왜장 가토[加藤淸正]가 함경도로 침입하여 회령 가까이에 이르자 경성부의 아전으로 있던 작은아버지 국세필(鞠世弼), 명천아전 정말수(鄭末守) 등과 함께 부민을 선동, 반란을 일으켰다.

이 때 근왕병(勤王兵: 왕을 측근에서 호위하는 병사) 모집차 이 곳에 머무르고 있던 선조의 두 왕자 임해군(臨海君) 이진(李珒)과 순화군(順和君) 이보 및 그들을 호종하였던 대신 김귀영(金貴榮)과 황정욱(黃廷彧) · 황혁(黃赫) 부자, 남병사(南兵使) 이영(李瑛), 부사 문몽헌(文夢軒), 온성부사 이수(李銖) 등을 그 가족과 함께 잡아 적진에 넘겼다.

이에 가토에 의하여 판형사제북로(判刑使制北路)에 임명되어 회령을 통치하면서 이언우(李彦祐) · 전언국(田彦國) 등과 함께 횡포를 자행하다가 북평사(北評事) 정문부(鄭文孚)의 격문을 받은 회령유생 신세준(申世俊)과 오윤적(吳允迪)의 유인에 떨어져 붙잡혀 주1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북관지(北關誌)』
「임진왜란 중 민간반란에 대하여」(이장희, 『향토서울 32』, 1968)
주석
주1

국경인 참살 : 『선조수정실록』 26권, 1592년(선조 25) 10월 1일. "북도 평사 정문부가 길주의 적병을 패배시키고 성을 포위하다"

집필자
이장희(성균관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