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담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장경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3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장경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73년 손자인 기덕(基德)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일섭(權一燮)의 서문과 권말에 기덕의 발문이 있다. 경상북도 안동의 이덕홍(李德弘) 종가에 있다.

권1에 시, 만사 196수, 권2에 서(書) 12편, 제문 19편, 가장(家狀) 1편, 부록으로 유사 1편, 만사 3편, 제문 2편, 행장 1편, 묘갈명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소박하면서도 은일적인 감상을 나타낸 것이 많다. 「어옹(漁翁)」은 낚시로 유유자적하는 달인의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은연중 자신의 심경을 나타내고 있으며, 「덕암야화(德巖夜話)」는 덕암의 한 촌가에서 하룻밤을 지내면서 주인과 대화하는 가운데 느낀 바를 읊은 것으로, 주인의 높은 학문과 고고한 지조를 칭찬하는 내용이다.

「무궁화음(無窮花吟)」은 영물(詠物)의 시로 무궁화가 인고와 역경을 감내하면서 끊임없이 피고 지는 것을 찬미한 것으로, 우리 민족과 더불어 자신도 끝없이 번영하기를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여박하석모춘상영(與朴荷石暮春賞詠)」은 봄날의 경치를 읊은 것으로, 덧없이 흘러가는 세월과 늙어가는 인생에 대한 감상적 상념을 표현하였다.

이밖에 영물의 시로는 「청선(聽蟬)」·「청와(聽蛙)」·「부문(賦蚊)」·「관야(觀野)」·「영송(詠松)」 등이 있고, 자신의 학문에 대한 열망을 나타낸 시로 「자영(自詠)」·「자민(自憫)」 등이 있다.

서(書)는 주로 친지와 문후(問候)를 주고받은 것이 대부분이며, 그 가운데 「답송성안(答宋聖安)」은 선비의 처신과 학문·시 등에 대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힌 것이다.

집필자
이원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