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형중(衡重), 호는 근계(近溪). 아버지는 권도기(權度璣)이며, 어머니는 영천이씨(永川李氏) 이진흡(李振熻)의 주1
이휘재(李彙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주경야독으로 가세를 일으키는 한편, 지극한 효심으로 아버지의 병환을 10여년 동안 보살폈으며, 특히 『근사록(近思錄)』 · 『동현대집(東賢大集)』 · 『대학』 등을 애독하였다.
또, 한편으로는 전통적 가치의 수호에 앞장 서 척사위정(斥邪衛正)의 운동에 힘썼는데, 1863년 동학교도들이 검거되었을 때 척사를 반대하던 그들의 무함으로 인하여 구속되었다가 후에 사실이 밝혀져 3개월 만에 대구에서 석방되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이 내려지자, 같은 고을에 살던 남교엄(南敎儼)과 함께 강학소를 설립하여 후진양성에 전력하는 한편, 주로 사실적 묘사에 역점을 둔 저술을 하였다. 저서로는 주2 2권 1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