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취지(聚之). 아버지는 좌찬성 권훤(權煊)이다.
1462년(세조 8) 사마시에 합격하고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에 임명되었다. 그 뒤 의방을 넓게 연구해 의업에 정통하였다. 1466년 내의원주부 겸 의학교수·감찰을 역임하고, 1467년 공조좌랑으로 있을 때 왕손의 질병을 고친 공으로 2계(二階)의 품계를 뛰어넘어 받으면서 종친부전부 겸 의학교수에 승진되었다.
1468년(예종 즉위년)에 세조의 시병(侍病)에 대한 노고로 세조의 유언에 의해 초계(超階: 품계를 뛰어넘음)되고, 예종의 시빈(侍賓: 곁에서 모심)과 남이(南怡)의 옥사에 헌신한 공으로 수충정난익대공신(輸忠定難翊戴功臣) 3등에 훈봉되었다.
같은 해 통훈대부에 오르면서 행사섬시첨정(行司贍寺僉正), 1469년 절충장군행호군, 1470년(성종 1) 가선대부에 오르면서 현복군(玄福君)에 봉해졌다. 1477년 성종의 병 치료 및 한계희(韓繼禧)와 『의서유취(醫書類聚)』를 간행한 공로로 자헌대부에 승진되었다.
1478년 아버지의 상중에 기복(起復: 벼슬에 복귀함)했고,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질병을 보살핀 노고로 또다시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올랐으며, 1479년 어머니 상중에 다시 기복하였다.
1483년 현복군으로서 약방제조(藥房提調)를 겸임하다가 공조판서에 발탁되었다. 그 뒤 "의업(醫業)에 있는 사람은 육경(六卿: 判書)에 합당하지 않다."는 대간의 상소가 계속되었으나 성종의 신임으로 유임되었다.
성품이 성실해 종족을 화목하게 했고, 신분을 가리지 않고 치료에 전념해 제활(濟活: 구제하고 회생시킴)한 일이 많았다. 시호는 정순(靖順)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