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수지(守之), 호는 장곡(藏谷). 할아버지는 증 좌승지 권석충(權錫忠)이고, 아버지는 내시교관 권춘계(權春桂)이며, 어머니는 주1 큰아버지인 집의(執義) 권춘란(權春蘭)에게 입양되었다. 구봉령(具鳳齡)의 문인이다.
1591년(선조 24)에 사마시에 주2하고, 1599년에는 별시문과에 병과로 주3하였다. 승문원권지부정자로 등용되고, 이어서 검열 · 승정원주서 · 시강원설서 · 정언 · 이조좌랑 등을 두루 역임하고 병으로 사임하였다. 뒤에 다시 홍문관수찬으로 복직하고, 이어서 이조정랑을 거쳐 영덕현령으로 4년간을 재임하면서 큰 치적을 올린 공으로 왕으로부터 옷감을 하사받았다.
이어 곧 홍문관교리로 승진하였으나 병으로 사임하고, 고향에 돌아가서 요양한 뒤 사성으로 복직하였다. 그 뒤 풍기군수를 거쳐 동부승지 · 우승지를 역임하고, 경주부윤으로 나가 백성을 교화하는 데 힘썼다. 다시 호조참의 · 좌부승지를 거친 뒤 부모를 봉양하기 위하여 고향의 지방관을 희망, 죽주부윤(竹州府尹)으로 나갔다.
1623년(인조 1)에 좌승지로 들어왔으나 곧 전주부윤으로 나갔다. 그 뒤 병조참의 · 충주목사를 거쳐 전라도관찰사로 승진, 지방관원들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힘썼다. 이듬해에 대사간을 거쳐 형조참판이 되었고, 그 뒤 접반사(接伴使)가 되어 가도(椵島)에 갔다가 돌아오던 중 죽었다. 저서로는 주4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