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원유고 ()

목차
관련 정보
극원유고
극원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만수의 시 · 기 · 제문 · 사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만수의 시 · 기 · 제문 · 사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5권 12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부 1편, 시 250수, 권2에 서(序) 7편, 기 14편, 지(識) 6편, 발 1편, 명 2편, 상량문 6편, 서(書) 8편, 혼서·게(偈)·사(詞)·설·축(祝)·완의(完議)·하첩(下帖)·책(策) 각 1편, 권3에 어제명(御製銘) 1편, 경재제명(賡載諸銘) 4편, 권4에 소 90편, 권5에 책문 4편, 반교문(頒敎文) 6, 치사(致詞) 1편, 친제문(親祭文) 5편, 축문 1편, 고유문 4편, 제문 17편, 진향문(進香文) 2편, 전(箋) 36편, 사제문 15편, 교서 9편, 계사(啓辭) 7편, 권6에 시 132수, 주련(柱聯) 1편, 발 2편, 서(序) 2편, 서(敍) 2편, 명 1편, 상량문 3편, 강의 2편, 답성문(答聖問) 1편, 오경백편책제(五經百編策題) 1편, 유문(諭文) 1편, 의례(義例) 1편, 관문(關文) 1편, 절목 1편, 권7에 만사 4편, 행장 1편, 권8에 문학 1편, 훈어(訓語) 1편, 권9에 전(箋) 2편, 애사 1편, 제문 22편, 서(序) 11편, 서(敍) 2편, 발 12편, 통문 1편, 권10에 행장 2편, 행록 2편, 시장(諡狀) 9편, 권11에 묘지명 2편, 추지(追誌) 2편, 묘지명 19편, 묘표 1편, 묘갈명 9편, 묘갈추기 1편, 신도비명 1편, 비명 1편, 비음기 2편, 권12에 시 300수, 기행 1편, 서(序) 1편, 계 2편, 주(奏) 3편, 자(咨) 4편, 표 1편, 반교문 1편, 권13·14에 시 206수, 권15는 부록으로 사제문 1편, 치제문 5편, 만장 2편, 자표문(自表文) 1편, 자지명 1편, 묘갈명 1편, 자지추기 1편, 가장 1편, 시장 1편, 화상찬(畫像贊) 2편, 교지 8편, 제문 2편, 묘지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거의 1천수에 가까울 정도로 많은데, 경물시(景物詩)가 주류를 이룬다. 소는 대부분이 사직소(辭職疏)이다. 책 가운데 「답성문(答聖問)」에서는 구경(九經)에서 수신(修身)과 위정(爲政)에 관계되는 장구들을 인용, 해설하였다.

서(序) 가운데 「오륜행실도서(五倫行實圖序)」에서는 사람이 금수와 구별되는 것은 오륜이 있기 때문이라고 하며, 이를 닦고 실천할 것을 강조하였다. 행장 중 「건릉행장(健陵行狀)」은 권7 거의 전편에 걸친 방대한 기록으로 사학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