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재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서유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서유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28년 증손 상운(相運)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상운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44수, 권2·3에 서(書) 8편, 잡저 7편, 서(序) 5편, 기 3편, 발 5편, 잠(箴) 1편, 명(銘) 4편, 송(頌) 1편, 상량문 1편, 애사 4편, 축문 1편, 권4에 제문 8편, 행장 3편, 유사 1편, 부록으로 행장·가장(家狀)·제문·만사(挽詞)·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수신(修身) 또는 은일적인 감회를 읊은 것이 많은데, 「유감우음(有感偶吟)」·「제석감음(除夕感吟)」·「완류청조(玩柳聽鳥)」 등이 있다. 이밖에 만시(挽詩)나 차운(次韻)·화답(和答)류가 많다.

서(書)에는 문목·별지에 답한 것이 많은데, 「답김기서별지(答金箕瑞別紙)」는 『중용』과 『가례』의 사당조(祠堂條)에 관한 것 등 도합 8개 항목에 관한 내용이고, 「답이근두문목(答李根斗問目)」은 『근사록 近思錄』에 관해 답한 것이다. 그 밖의 서(書)에서 이기설(理氣說)에 관한 그의 관점은 대개 이이(李珥)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잡저의 「함재선생예학도설(涵齋先生禮學圖說)」은 그의 8대조인 서해(徐嶰)의 「예학도(禮學圖)」를 해설한 장문의 논술이다. 예(禮)의 근본을 함양(涵養)에 두고, 입지(立志)·지신(持身)·궁리(窮理)·접물(接物)로 나누어 이론을 구성하고 있다.

「차기(箚記)」는 여러 경서 중 주로 심성(心性)에 관한 문제 54개 조목을 차록(箚錄)한 것이다. 제문에는 이우(李堣)와 김굉(金㙆)에 대한 제문이 있다.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