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 )

목차
관련 정보
금관총 금관
금관총 금관
공예
유물
국가유산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금관총에서 출토된 신라시대의 금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金冠塚 金冠 및 金製 冠飾)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장신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금관총에서 출토된 신라시대의 금관.
개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44.4㎝. 금관은 내관(內冠)과 외관(外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외관은 신라금관의 전형이다.

내용

1921년에 발견된 이 금관은 원형의 머리띠 정면에 3단으로 ‘출(出)’자 모양의 대생지(對生枝: 마디마다 두개씩 마주 붙어서 나는 가지) 수목형(樹木形) 입식(立飾) 세 개와, 뒤쪽 좌우에 두개의 사슴뿔모양[鹿角形]장식이 세워져 있다.

대륜 상하와 입식 주위에는 점렬문(點列紋)이 찍혀 있고, 많은 비취색 곱은옥[曲玉]과 원형의 영락(瓔珞)이 규칙적으로 금실에 매달려 있다. 또한 양끝에는 가는 고리에 금사슬이 늘어진 두 줄의 수식(垂飾)이 달려 있는데, 일정한 간격으로 심엽형(心葉形)의 영락을 달았으며, 끝에는 금모(金帽)를 씌운 비취색의 곱은옥이 매달려 있다.

이와 같은 외관에 대하여 내관으로 생각되는 관모(冠帽)가 관 밖에서 발견되었다. 이와 비슷한 예가 경주시 천마총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내관은 삼각형·철형(凸形)·능형 등의 문양이 투각된 얇은 금판(金板)을 오려서 만든 세모꼴 모자에 역시 복잡한 투각문양(透刻文樣)과 많은 영락이 장식된 새 날개모양[鳥翼形]의 금판 관식을 앞에 꽂게 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새 날개 모양을 관모의 장식으로 꽂은 것은 삼국시대 사람들의 신앙을 반영한 것으로 샤머니즘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국보(國寶)』1 고분금속(古墳金屬)·(한병삼 편, 예경산업사, 1983)
「신라금관(新羅金冠)의 계통(系統)」(김원룡, 『효성조명기박사화갑기념불교사학논총(曉城趙明基博士華甲記念佛敎史學論叢)』, 1915)
「慶州金冠塚と其遺寶」(濱田耕作·梅原末治, 『朝鮮總督府古蹟調査特別報告』, 1924)
집필자
진홍섭(전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