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현존하는 금동탑으로는 가장 규모가 크다. 수미좌(須彌座)를 본뜬 정방형의 기단 위에 5층탑신과 상륜(相輪)을 얹고 있으나 두 층 정도의 탑신과 상륜 부재의 일부가 결실된 듯하다.
기단에는 우주(隅柱: 모서리기둥)와 탱주(撑柱: 받침기둥)를 새겼고, 그 사이에는 직선무늬와 연주문(連珠文)을 X자형으로 겹겹이 채운 면벽이 마련되었다. 기단 밑부분에는 입화형(立花形)의 안상(眼象)이 뚫려 있고 그 위에 연꽃잎이 띠를 이루었다. 기단의 윗부분은 당초무늬가 어우러진 난간을 세웠는데 한쪽 면에 계단을 내었다.
1층탑신은 벽에 기둥과 틈살, 출입문 등을 내고 기둥 위에는 두공(枓栱)을 짠 다음 지붕을 받았다. 지붕은 겹서까래의 처마와 기왓골, 네 귀의 잡상(雜像), 용머리, 풍탁(風鐸) 등이 잘 표현되었는데 일부가 없어진 흔적이 있다.
2층탑신부터는 탑신의 높이가 많이 줄어들고 있는데, 조형 수법은 1층과 동일하며 다만 여기서부터 5층까지는 탑신의 기둥 사잇벽마다 불좌상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상륜은 노반(露盤)과 꽃띠를 두른 복발(覆鉢), 앙화(仰花)가 차례로 얹혀 있고, 그 위에는 보주(寶珠)만 남아 있을 뿐 나머지 부재는 상실되었다. 전체적으로 도금은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상태는 양호하다.
기단이 넓고 중후하며 탑신의 지붕은 곡선이 유연하고 경쾌하여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 탑 전체에 무늬장식과 부착물이 많아 공예탑적인 특성이 완연하지만 목탑의 형태를 충실하게 재현하고 있으므로 목조 건축의 연구 자료로서도 높은 가치를 지닌다. 11세기경의 고려탑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