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생이문록 ()

목차
관련 정보
일선지 / 금생이문록
일선지 / 금생이문록
한문학
작품
1591년(선조 24) 최현(崔晛)이 지은 한문소설.
이칭
이칭
금오몽유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591년(선조 24) 최현(崔晛)이 지은 한문소설.
내용

1591년(선조 24) 최현(崔晛)이 지은 필사본 한문소설로 선산 지역과 관련 있는 유현(儒賢)들의 사적을 현창하려는 의도에서 지었다. 처음 제목은 ‘금생전(琴生傳)’이다. 1591년에 작품의 초를 잡아 박순백(朴純伯)에게 보여주고 나서 임진왜란 중에 초고를 잃어버렸다. 그러나 순백이 기록하여둔 것을 뒷날 ≪일선지 一善志≫를 편찬하면서 부록으로 싣게 되었다고 작품 말미에 전한다.

작품 끝에는 이준(李埈)의 발문이 있다. 몽유록계의 작품으로 금생이 꿈에 영남 금오산(金烏山)을 중심으로 한 충신과 의사를 만난 일을 서술하여 영남사림파의 전통을 옹호하고자 하였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금생은 늘 큰 이상을 품었다. 그래서 유적과 명산을 두루 돌아보고, 충신·열사의 사당을 만나면 경배하고 시를 지어 그 뜻을 기리리라 생각하였다. 어느날 서책을 베개삼아 누웠다가 꿈의 세계로 가게 된다. 그윽한 곳에 이르니 세 기둥을 한 집이 있었다. ‘청풍입나지문(淸風立懦之門)’이라 쓴 현판이 있어 들어간다.

안에는 길재(吉再)·김종직(金宗直)·정붕(鄭鵬)·박영(朴英) 등이 있었다. 금생이 이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을 때에 정몽주(鄭夢周)가 이르자 모두 나가 맞이하고 제자의 예를 올렸다. 뒤에 네 선생이 노사(老師) 4인과 처사(處士) 2인을 청하자 김주(金澍)·하위지(河緯地)·이맹전(李孟專)·김숙자(金叔滋)·박운(朴雲)·김취성(金就成)이 이른다.

각각 정좌하고 난 뒤 정몽주가 학문과 수양의 도를 설하였다. 모두 머리 수그려 재배하고 다시 도덕과 나이순으로 자리를 정하여 앉았다. 술을 두어 차례 마시니 금생이 자청하여 <풍입송 風入松> 한 결을 켜자 정몽주가 시로 화답하였다. 그 가사는 문왕과 무왕을 그리워하고 후세인에게 공도(公道) 회복을 기대하는 내용이었다.

시회를 마치자 모두 흩어져 가고 금생만이 방황하다가 깨어보니 배 안이었다. 산 아래에 충신묘가 있다고 하여 가보니 사당 안에 네 선생의 위차(位次)가 있어, 꿈에 본 것과 같았으나, 네 노사와 두 처사는 없었다. <금생이문록>은 <원생몽유록 元生夢遊錄>과 같이 소설적인 구성을 갖추고 있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선산 지방의 인물을 부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어 영남사림파의 전통을 옹호하고자 하였으므로 다른 몽유록계 소설에 비해 주제가 약화되었다. 유가적 도덕률과 수양과 학문을 제재로 하여 등장인물을 통해 그 교훈성을 설파하도록 만드는 등의 소설적인 면모에서는 크게 성공하지 못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일선지(一善志)』
『한국고전소설연구』(김기동, 교학사, 1981)
「금생이문록-몽유록계소설의 신자료-」(홍재휴, 『경북대학교사범대학국어연구』 2, 197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