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별곡 ()

고전시가
작품
1480년(성종 11)박성건(朴成乾)이 지은 경기체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480년(성종 11)박성건(朴成乾)이 지은 경기체가.
구성 및 형식

1789년(정조 13)에 간행된 『함양박씨세보(咸陽朴氏世譜)』에 실려 있다.

내용

총 6장으로, 작자가 금성(錦城 : 지금의 羅州)의 교수로 있으면서 가르친 제자 10인이 소과에 급제하자 그 감격을 자랑한 내용이다.

제1장에서는 자연이 아름다운 나주 고을은 빼어난 인재가 많이 배출된 곳임을 자랑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 고장의 유생들이 향교를 중심으로 하여 일으킨 면학의 기풍을 찬양하였다. 제3장에서는 당시의 나주목사 김춘경(金春卿)과 통판(通判) 오한(吳漢)의 선정을 칭송하였다.

제4장에서는 작자의 교훈이 교화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것을 자랑하였다. 제5장에서는 이 고장의 유생 10명이 함께 급제한 것을 고을의 장하고 아름다운 일로서 칭송하고, 또한 나주의 벌족인 금성나씨 일문에서 6명이나 함께 급제한 영광을 노래하였다.

제6장에서는 급제를 축하하는 고을 잔치에서, 가무와 음주를 즐기면서도 질서를 잃지 않는 유생들을 칭찬하였다. 문학사적으로 이 작품은 찬양을 하며 감격을 나타내는 노래인 경기체가의 전통적 성격을 보여주는 마지막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형식은 이미 정격형에서 벗어나 변격형으로 옮겨간 모습을 하고 있다. 후에 작자의 후손 순우(淳愚)의 「금강별곡(金剛別曲)」과, 이화(履和)의 「낭호신사(朗湖新詞)」와 「만고가(萬古歌)」에 영향을 주어, 일가의 문맥을 잇게 하였다.

참고문헌

『함양박씨세보(陽朴氏世譜)』
「별곡체가연구(別曲體歌硏究)」(김창규, 『효성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87)
「금성별곡평석고(錦城別曲評釋考)」(김창규, 『국문학연구』 9, 효성여자대학교, 1986)
「경기체가의 시대」(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1983)
「경기체가(景幾體歌)의 종합적고찰(綜合的考察)」(김문기, 『백강서수생선생환갑기념논총』-한국시가연구-, 형설출판사, 1981)
「경기체작품(景幾體作品) 금성별곡(錦城別曲)에 대하여」(박노춘, 『도남조윤제박사고희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76)
「박성건(朴成乾)의 금성별곡연구(錦城別曲硏究)」(이상보, 『명대논문집』 8, 명지대학,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