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군복위가 ()

고전시가
작품
1824년(순조 24) 조우각(趙友慤)이 지은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24년(순조 24) 조우각(趙友慤)이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세인의 빗나가는 마음을 바로잡아 주기 위하여 지은 작품으로,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41행이다. 작자는 경상북도 영천에서 만리관(萬里館)을 지어 그곳에서 학문을 익히고 글을 가르치며 생활해온 은일사로서 의지가 강하고 기개가 꿋꿋하여 절의를 숭상한 선비였다.

항상 호란의 치욕을 씻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한스럽게 여기고 그 풀지 못하는 울분을 노래로나마 풀어보려고 「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를 짓기도 하였다.

「천군복위가」는 「대명복수가」와 함께 『동음(東音)』이라는 필사본에 실려 있다. 이 가사는 자문자답하는 기사법(起辭法)으로 이루어진 척구(隻句)가 탈락된 변용가사이다.

내용 및 평가

이 가사는 그의 배청향명사상(背淸向明思想)을 담은 「대명복수가」를 지은 여정(餘情)으로 만들어진 작품으로서 천군, 곧 인심의 회복을 위한 도학(道學)의 부흥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곧 성학(聖學)을 밝히어 잃어버린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본심을 되찾아 밝은 세상을 이룩하고자 하는 뜻을 밝힌 것으로, 욕망 등에 의하여 본심을 크게 해치는 일이 없이 항상 그 본연의 상태를 지니며 선천적으로 내재하여 있는 도덕성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인간이 지닌 본시의 양심을 잃지 않도록 그 착한 성품을 기르는 도를 깨우치게 한 것이다. 이 작품은 다른 도덕가류의 시풍을 본받아 이루어졌겠지만 또한 이런 유의 가사 창작에도 영향을 주어 이 지방의 선비 조병무(曺秉武)의 「천군송덕가(天君頌德歌)」로 이어지게 하였다.

참고문헌

『창헌집(蒼軒集)』
「학고가사고」(홍재휴, 『이상보박사회갑기념논총』, 1988)
「창헌 조우각의 대명복수가·천군복위가」(홍재휴, 『행정이상헌선생회갑기념논문집, 형설출판사,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