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어집 ()

목차
관련 정보
금어유고
금어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명재의 시 · 소 · 제문 · 서(序)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명재의 시 · 소 · 제문 · 서(序)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9권 4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3에 시 212수, 가 1편, 부(賦) 1편, 권4에 소 24편, 차자(箚子) 3편, 계사(啓辭) 1편, 의(議) 1편, 전표(箋表) 15편, 진향문(進香文) 2편, 예장(禮狀) 4편, 교지(敎旨) 2편, 권5에 묘갈명 2편, 묘지명 1편, 정려명(旌閭銘) 1편, 행장 1편, 서사(書事) 1편, 권6에 제문 27편, 고유문 4편, 서(序) 13편, 권7·8에 기 5편, 지(識) 5편, 명 13편, 제발(題跋) 15편, 상량문 1편, 청사(靑詞) 2편, 율부 2편, 잡저 4편, 사군일록(四郡日錄) 1편, 권9는 부록으로 가장 1편, 제문 4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신휴역(神休驛)」·「용동폭포(龍洞瀑布)」·「한벽루(寒碧樓)」 등 명승고적을 소재로 하여 쓴 것이 많고, 또한 애상적인 감회시도 적지 않다. 그 가운데에서도 「야문자규(夜聞子規)」에는 애절한 정감이 잘 표현되어 있다.

계사는 『모전(毛傳)』과 『상서(尙書)』가 학문의 가장 중요한 것이니 이를 연구할 것을 진언한 내용이다. 이밖에 「금호어인가(琴湖漁人歌)」와 「단강삼첩(短腔三疊)」은 국문으로 서술되어 있어 국어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순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