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

목차
관련 정보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공예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신라시대 무덤인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금제 고배(高杯).
이칭
이칭
금관및수하식(구십팔호북분)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78년 12월 07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신라시대 무덤인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금제 고배(高杯).
개설

197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황남대총 북분에서는 금제고배 5점, 은제고배 8점, 금동제고배 4점 등 모두 17점의 금속제 고배가 출토되었다. 그중 1978년 보물로 지정된 금제고배는 구연부 주변에 구멍을 뚫어 7개의 심엽형 달개를 매달아 금관 못지않은 정교함을 보여준다.

내용

이 고배는 금판을 두드려 만든 반구형의 몸체 아래로 투공을 뚫은 대각(臺脚)을 접합하여 만들었다. 몸체의 구연부는 금판을 안에서 밖으로 말아 붙여 한 줄의 돌대처럼 도드라지게 구성되었다. 이 돌대의 구연부 바로 아래의 7군데에 각각 2개씩의 소공을 뚫어 금고리를 끼운 뒤 용수철처럼 꼬은 금줄과 심엽형의 수하식을 단 모습이다. 금관에 붙어있는 달개 장식이 대체로 원형판인 반면에 이 달개 장식은 하트형으로, 더 정교한 점에서 오히려 신라의 귀걸이를 연상케 한다.

대각의 상하단에는 2줄의 돋을 띠를 표현하였고, 대각의 하단부에도 얇은 금판을 ‘U’자상으로 만들어 덮어 씌운 모습이다. 아울러 대각의 윗 아랫단을 각 5개씩 서로 엇갈리게 투창을 뚫었는데, 당시 고분에서 출토되는 고신라 토기 양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다만 토기에 비해 투공이 좀 더 넓어진 경향으로 보이며 하단부의 대가 가늘게 처리된 것은 금속제라는 재질 특성상 좀 더 세밀한 표현이 가능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고배의 몸체와 대각을 접합시키기 위해 대각 윗쪽에 凸자 모양 촉을 5개 만들어 몸체 내부 바닥에 구멍을 뚫어 끼운 뒤 다시 위쪽에 금판을 덧댄 다음 구부려 고정시키는 방법을 취하였음이 주목된다.

천마총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금동제 고배가 출토되었지만 황남대총의 달개 장식 고배와 같은 예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황남대총 출토의 금속제 장신구가 그러하듯이 금제 고배에서도 탁월한 조형성을 보여주고 있어 당시 황남대총 금속공예 기술의 수준과 역량이 높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공예 Ⅰ-고분미술』(이한상, 예경, 2006)
『황금의 나라 신라』(이한상, 김영사, 2004)
『고분미술Ⅰ·Ⅱ』(이영훈·신광섭, 솔출판사, 2003)
『국립경주박물관 고고관』(국립경주박물관, 통천문화사, 2002)
『신라 황금 –신비한 황금의 나라』(국립경주박물관, 씨티파트너, 2001)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