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지 ()

목차
관련 정보
기자지
기자지
조선시대사
문헌
1879년 정인기 등이 기자에 관한 사실과 논평 등을 엮어 간행한 역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79년 정인기 등이 기자에 관한 사실과 논평 등을 엮어 간행한 역사서.
내용

9권 3책. 고활자본. 1580년(선조 13)에 윤두수(尹斗壽)가 편찬한 『기자지』가 자료집으로서 기자에 관한 사실을 빠뜨린 것이 많아 이를 다시 모아 수록하고, 체재를 재정비하기 위해 간행하였다.

권수(卷首)에는 기자상(箕子像) · 부찬(附贊) · 기자수필(箕子手筆)이 있고, 윤두수의 『기자지』에 실린 사적도(事蹟圖)와 사기도(祠基圖) 외에, 홍범구주(洪範九疇)에 관한 도해와 성(成) · 탕(湯)으로부터 기자에 이르는 기자의 보계도(譜系圖)가 실려 있다.

세계는 기자가 동래(東來)한 때로부터 기자조선의 마지막왕 애왕(哀王:準)이 남하한 때까지의 41대 929년의 세계와 애왕이 남하하여 마한을 세운 때로부터 마한이 멸망하는 계왕(稽王)에 이르기까지의 9대 177년의 세계를 수록하고 있다.

홍범 · 전(傳) · 녹(錄) · 사전(祀典) · 치제문(致祭文) · 어제치제문(御製致祭文) · 부 · 시 · 사(辭) · 조(操) · 가(歌) · 찬 · 논 · 설 · 어(語) · 변 · 서(序) · 기 · 발 · 비문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홍범」에는 홍범구주에 관한 논설이, 「어제치제문」에는 명나라 태종(太宗) 및 조선의 태조로부터 정조의 치제문이 수록되어 있다.

발문에는 정인기 외 7인, 교정에는 이손영(李巽榮) 외 5인, 수집(蒐輯)에는 정이기(鄭頤基) 외 3인, 선서(繕書)에는 권란(權欗) 외 5인, 감인(監印)에는 이규화(李圭華) 외 3인이 참가하였다. 서문은 기정진(奇正鎭)이, 발문은 송병선(宋秉璿)이 썼다.

참고문헌

『조선전기사회사상연구(朝鮮前期社會思想硏究)』(한영우, 을유문화사, 1983)
「기자조선(箕子朝鮮)에 대한 인식(認識)의 변천(變遷)」(박광용, 『한국사론(韓國史論)』6, 서울대학교, 1980)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