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주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판서, 광주유수,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경일(景日)
시호
문익(文翼)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43년(영조 19)
사망 연도
1806년(순조 6)
본관
경주(慶州)
주요 관직
우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판서, 광주유수,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경일(景日). 김두광(金斗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운경(金運慶)이고, 아버지는 영조의 장인인 김한구(金漢耉)의 사촌 동생 김한록(金漢祿)이며, 어머니는 서옥업(徐玉業)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65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정언·홍문관교리를 지냈다. 1772년에 청의(淸議)와 명분을 강조하는 집단을 탕평에 대한 반동으로 지목해 유배시킨 청명류사건(淸名流事件)이 일어나자, 이를 홍봉한(洪鳳漢) 일파의 사주로 보고 홍씨의 척신 정치 제거가 곧 의리라는 소를 올렸다. 이는 아버지 김한록과 의논한 것이었고, 김구주(金龜柱)도 가세했기에 영조의 노여움을 사 함경도 갑산에 유배되었다.

정조가 즉위하자 이 소는 당시 왕세손인 정조를 해치려는 음모로 비판되었고, 세칭 시벽당쟁(時僻黨爭)의 원인이 되었다. 1793년(정조 17)에 다시 서용되어 용궁현감이 되었으나 그 이상 크게 쓰이지 못하였다.

1800년 6월 정조가 죽은 뒤 정순대비가 수렴청정하자, 이조참판·이조판서·광주유수를 거쳐 2년 만인 1802년에 우의정으로 기용되었다. 이때 심환지(沈煥之)·정일환(鄭日煥)·김달순(金達淳) 등과 신유사옥을 일으켰다. 또한 권유(權裕)로 하여금 김조순(金祖淳)을 공격해 순조와 순원왕후의 국혼을 방해하도록 유도하였다.

1804년에 정순대비가 다시 수렴청정을 하려고 하자 이를 반대하다가 삭직되었다. 그 후 왕대비가 죽은 뒤 1806년에 사당(私黨)을 위해 정조의 뜻을 배신한 죄 및 삼간택(三揀擇)을 방해한 권유를 방조한 죄목으로 탄핵되어, 함경도 경흥으로 유배가는 도중 이원에서 죽었다. 뒤에 신원되었으며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은파산고(恩坡散稿)』
『전고대방(典故大方)』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