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길꼬냉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그 명칭이 다양하다. 전라남도의 해남이나 해안지대 및 내륙지방에서는 「질꾸내기」「질꼬냉이」, 즉 「길군악」 혹은 「길노래」라고 부르고, 같은 해남의 화산면에서는 「제화소리」라고 부른다.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에서는 「질꼬래기」, 경상북도 예천지방에서는 「깽마쿵쿵노래」,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지방에서는 「종다리소리」라고 부른다. 그외에 「길꼬내기」 · 「장원질 소리」 · 「질꾸래기」 등으로도 부른다.
그 용도도 다양하여 진도와 장산도에서는 논에 나가면서 부녀자들이 일렬로 논두렁을 걸어가며 부르고, 그 밖에 전라남도의 해안지방과 내륙지방, 그리고 해남에서는 만두레 혹은 만물로 불리는 세벌 논매기 뒤에 그 해 가장 농사가 잘 된 집의 상머슴을 골라 장원이라 부르고, 그를 소 위에 태운 뒤 농악을 치면서 논두렁에서 마을을 향해오면서 부른다. 노랫말도 다양한데 이 가운데 진도 일부지방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에헤야 에헤야, 에헤야 어기야, 허얼사 지화자자, 아하 어리시구나 지화자자자 헐사 좋네, 정든님 따라서 내가 돌아를 가는고 나야……”
장단과 형식, 가락이 지방마다 각기 다르다. 이 가운데 해남의 경우는 세마치나 늦은 중모리장단에 맞고, 두 장단씩 메기고 받는 형식이며, 선율은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표시하면 ‘미 · 솔 · 라 · 도 · 레 · 미’로 구성되고 ‘라’로 마친다.
나주의 경우는 늦은 세마치나 늦은 중모리장단에 맞고, 선율은 ‘미 · 솔 · 라 · 도 · 레’의 5음으로 되어 있고 ‘솔’로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