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예조좌랑, 예조정랑, 장례원판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사행(士行)
죽봉(竹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53년(효종 4)
사망 연도
1735년(영조 11)
본관
풍산(豊山)
주요 관직
장례원판결사
관련 사건
이인좌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예조좌랑, 예조정랑, 장례원판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사행(士行), 호는 죽봉(竹峯). 아버지는 김필신(金弼臣)이며, 어머니는 예안이씨로 통덕랑 이천표(李天標)의 딸이다. 이유장(李惟樟)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93년(숙종 19) 사마시에 주1하였다. 1701년 김장생(金長生)을 문묘(文廟)에 배향하는 데 반대하는 소를 올린 것으로 인하여 2년 동안 광양에 유배되었다. 1710년 58세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주2하여 승문원에 들어갔다. 이듬해 황산찰방이 되어 선정을 베풀어 떠난 뒤 송덕비가 세워졌다.

그 뒤 이수익(李壽益)의 천거로 사재주부에 임명되었다가 예조좌랑 · 예조정랑이 되었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에 유승현(柳升鉉)을 장수로 삼아 의병을 일으켰다가 난리가 평정되어 파하였다.

그 뒤 사예 · 병조정랑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고, 1732년 품계가 통정대부에 오르고 호군(護軍)에 임명되었다가 바로 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가 되었다. 권두경(權斗經) · 이재(李載) · 조덕린(趙德隣) 등과 교우를 맺었다.

1788년(정조 12) 이진동(李鎭東) 등이 이인좌의 난에 공을 세우고 포상받지 못한 31인의 치적을 상소할 때에 제일 앞에 놓였다. 낙연서원(洛淵書院)에 봉향되었다. 저서로는 주3 2책이 있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죽봉문집(竹峯文集)』
『계유식년사마방목(癸酉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106])
주석
주1

사마시 급제 : 『계유식년사마방목(癸酉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106])

주2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十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3

김간 저술 : 『죽봉선생문집(竹峯先生文集)』(영남대학교 도서관 古 810.819-김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