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진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정의부의용대 제1대장 등을 역임하면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9년(고종 26)
사망 연도
1964년
출생지
평안북도 의주
관련 사건
3·1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정의부의용대 제1대장 등을 역임하면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개설

가명 김광해(金廣海). 평안북도 의주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919년 3·1운동 때 의주군 광평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가담한 뒤 의주 경찰의 눈을 피하여 오동진(吳東振) 등과 남만주로 망명하여 청년단조직에 헌신하였다.

1920년 9월 18일에 미국의 국회의원단이 내한한다는 소식을 듣고 광제청년단장(廣濟靑年團長) 오동진의 지령에 따라 7월에 동지 임용일(林龍日)과 폭탄을 휴대하고 평안북도 선천에 잡입하였다.

이들은 미국국회의원단의 입국을 기해 국내 주요도시의 일제기관 폭파와 일본요인 암살을 위해 준비공작을 하였으나, 일본경찰이 이 정보를 사전에 탐지하고 경계강화를 취하였기 때문에 실현하지 못하고 만주로 귀환하였다.

1925년 6월 정의부의용대 제1대장 명의로 평안도에 격문을 뿌리고 7월 4일, 이진무(李振武)·홍학순(洪學淳)·김인옥(金仁玉)·김학규(金學圭)·이창만(李昌萬)·오동락(吳東洛) 등과 함께 평안북도 철산군 차련관(車輦館) 주재소를 습격, 4명의 경찰을 사살하였다.

그리고 그 부근에 있는 부호 양조업자 집에 들어가 군자금 4,000원과 금시계 1개를 영수하고 군중이 많이 모인 장터로 나와 그들의 활동상을 설명하였다. 야음을 틈타 만주로 귀환하던 중 일본 경찰의 추격을 받아 치열한 교전 끝에 1개월 만에 귀환하였다.

1931년 만주사변 후에는 김광해(金廣海)라는 가명을 쓰고 톈진[天津]·상해 등지를 전전하면서 망명생활을 하다가 광복 후 1949년 10월에 귀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대한민국독립운동공훈사』(김후경, 독립운동공훈사발간위원회, 1985)
『독립운동사』 7(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6)
『한국독립운동사』 4(국사편찬위원회,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