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주 ()

김승주 삼공신 회맹록 판본
김승주 삼공신 회맹록 판본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병조판서, 판중군도총제, 평양부원군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시호
양경(襄景)
이칭
김을보(金乙寶), 여산군(麗山君), 평양군(平陽君),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54년(공민왕 3)
사망 연도
1424년(세종 6)
본관
순천(順天)
주요 관직
판중군도총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병조판서, 판중군도총제, 평양부원군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초명은 김을보(金乙寶). 본관은 순천(順天). 한발(旱魃)이 심해 그에게 기우제(祈雨祭)를 지내게 하니 마침 많은 비가 왔다. 이 일로 특별히 이름을 김승주로 고쳤다고 한다. 아버지는 정주목사(定州牧使) 김유정(金惟精)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80년(우왕 6) 흥위위별장(興威衛別將)로 관직에 들어선 뒤 군기시소윤(軍器寺少尹)을 거쳐, 1389년(창왕 1) 풍주수령으로 임명되었다. 그 때 풍주 연해를 노략질하던 왜구를 무찌르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조선이 건국되자 1393년(태조 2)에 전중경(殿中卿)에 오르고, 이어서 이성만호(泥城萬戶)가 되었다. 1394년에 의흥삼군부첨절제사(義興三軍府僉節制使)가 되었다가 그 해 형조전서로 전임하였다. 1396년 동북면청해도안무겸찰리사(東北面靑海道安撫兼察理使)로 나가 야인 진압에 공을 세웠고, 호조전서·이조전서·중추원부사·경상도병마절제사·경상도병마도절제사를 지냈다.

1400년(정종 2)에 좌군총제로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한 공으로, 1401년(태종 1)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고 여산군(麗山君)에 봉해졌다. 태종 초에 강계만호에 이어 공조판서·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를 지냈다. 1406년에 사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07년에 동북면병마도절제사 겸 영흥부윤·도순문찰리사 등을 지냈다. 1410년(태종 10)에 야인이 경원(慶源)에 침입하자 왕명을 받고 나가 이를 격퇴하였다. 이듬해 참찬의정부사에 이어 1413년 서북면도순문사(西北面都巡問使) 겸 평양부윤(兼平壤府尹)을 지냈다.

1414년 병조판서로 있다가 이듬해인 1415년에 평양군(平陽君)으로 개봉되었으며, 판중군도총제(判中軍都摠制)가 되었다. 그 뒤 평양부원군에 진봉되었다. 시호는 양경(襄景)이다.

참고문헌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우복집(愚伏集)』
『백헌집(白軒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