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통례원상례, 광주목사,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경회(景晦)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1년(중종 36)
사망 연도
1611년(광해군 3)
본관
광산(光山)
주요 관직
첨지중추부사
정의
조선시대 통례원상례, 광주목사,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회(景晦). 할아버지는 군수 김종윤(金宗胤)이고, 아버지는 증찬성 김호(金鎬)이며,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이다. 큰아버지인 김석(金錫)에게 입양되었다. 정지운(鄭之雲)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여러 차례 과거에 실패하고 음보로 활인서별제(活人署別提)·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수운판관(水運判官)·통례원인의(通禮院引義)·감찰·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호조좌랑·공조좌랑·형조정랑·호조정랑·종친부전적(宗親府典籍)·통례원상례(通禮院尙禮) 등을 역임하였다.

외직으로는 교하현감·임피현령 및 청도·단양 등 여러 고을의 군수를 거쳐 광주목사(廣州牧使)를 지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 체찰사 정철(鄭澈)의 종사관으로 종군하였다. 이듬해 관병과 의병의 연합군을 이끌고 오산의 독성산성(禿城山城)을 지키다가 정철이 무고를 당하자 낙향하였다.

그 뒤 조정에서 호패법(號牌法)을 시행하려 하자 그 불편한 점을 상소하였고, 정여립(鄭汝立)을 여러 차례 규탄하였다. 재질이 민첩하고 지략이 뛰어났다. 만년에 수직(壽職: 나이가 많은 자에게 주는 대우직)으로 가선대부에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계곡집(谿谷集)』
집필자
이장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