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춤

목차
관련 정보
무용
작품
불교의식무용의 하나.
이칭
이칭
착복무(着服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의식무용의 하나.
내용

불교의식 무용의 하나.

일명 ‘ 작법(作法)’이라 하며, 행위동작으로 불법(佛法)을 상징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불교의식 무용 가운데 가장 중요한 춤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의식 가운데 대개 영산재(靈山齋) ·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 · 수륙재(水陸齋) · 각배재(各拜齋) · 생전 예수재(生前豫修齋) 등의 중간중간에 삽입하여 춘다. 의식에서 중요한 부분을 춤의 동작으로 나타내어 불법을 상징하기 때문에 춤의 명칭은 의식의 중요 절차를 따서 다양하게 붙이고 있으나 춤사위는 대동소이하다.

오늘날 추는 중요 나비춤의 명칭은 도량게작법(道場偈作法) · 다게작법(茶偈作法) · 사방요신작법(四方搖身作法) · 정례작법(頂禮作法) · 향화게작법(香花偈作法) · 운심게작법(運心偈作法) · 지옥고작법(地獄苦作法) · 자귀의불작법(自歸依佛作法) · 만다라작법(曼茶羅作法) · 기경작법(起經作法) · 삼귀의작법(三歸依作法) · 모란찬작법(牡丹讚作法) · 구원겁중작법(久遠劫中作法) · 오공양작법(五供養作法) 등 14가지이다.

이 춤은 대개 일정한 장단과 리듬이 없는 범패(梵唄)와, 요령 · 태징 · 목탁 · 북 등 사물(四物)의 반주로 춘다. 또한, 부처에게 드리는 한 의식으로서의 신업(身業:몸으로 지은 모든 죄업)이기 때문에 관중을 의식하지 않고 춘다. 춤의 동작에서 중요한 것은 반신요배(半身搖拜)와 양쪽 발을 정자(丁字)로 하여 도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빠른 동작이 거의 없고 어깨나 고개도 거의 움직이지 않아 조용하고 완만한 것이 특징이며, 극히 좁은 공간(대개 한 발짝을 넘지 않음)에서 느린 한배로 추므로 참으로 조심스럽고 정중하다. 대개 두 사람 또는 네 사람이 춘다.

나비춤을 배울 때 제일 먼저 시작하는 것이 도량게작법이다. 그것은 각 재의 요잡(繞匝: 부처를 중심으로 하고 그 둘레를 돌아다니는 일) 가운데 나비춤이 나와야 할 경우 흔히 도량게나비춤을 추고, 또한 나비춤 가운데 제일 춤사위가 많기 때문에, 이것을 배우고 나면 나머지는 그 순서만 알면 쉽게 출 수 있기 때문이다. 도량게작법의 춤사위는 8가지이다. 이 춤은 법을 상징한다는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다른 춤에 비해 의상도 특수하다.

장삼(長衫)가사(袈裟) 안에 입는 것으로 대개 흰색의 무명옷감으로 만든다. 몸의 기장과 팔의 기장이 같으며, 옷고름의 가운데에 있는 끈은 빨간색 양단으로 만든 것으로 너비는 2㎝ 정도인데, 옷에 붙어 꿰매져 있으며 이것을 ‘돌띠’라고 한다. 그리고 겨드랑이의 터져 있는 곳을 ‘당아지’라고 한다.

몸판의 앞깃을 옆으로 활짝 펼쳐보면 여덟 칸으로 꿰매져 있는데, 이것을 ‘팔금강’이라고 한다. 또한 ‘대령’이라고 하여 너비가 20㎝ 쯤 되는 화려한 비단을 앞가슴에 대고 홍끈으로 묶는다. 대령의 길이는 어깨쯤부터 발끝까지 닿아야 한다.

이상의 여러 가지 작법은 대체로 그 의식의 내용을 뜻하는 게문(偈文) 또는 의식문을 범음(梵音)으로 소리를 지으며 춤을 추지만, 사방요신작법 · 정례작법 등과 같이 동작만 나타내는 춤도 있다.

참고문헌

『석문의범(釋門儀範)』
『범음집(梵音集)』(도림사 중간판, 1739)
『한국춤』(정병호, 열화당, 1985)
「식당작법」(정병호·홍윤식, 『중요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150, 문화재관리국, 198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문일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