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무용은 국빈의 영접과 진연(進宴)이나 진찬(進饌) 등의 의식을 위하여 만들어진 정재(呈才)와, 종묘(宗廟)나 문묘(文廟)의 제례를 위한 일무가 있다.
이와 같은 정재무와 일무는 화려하고 거창한 관복과 느리고 장엄한 음악반주, 선비정신의 절제 등이 복합작용하여 표출이 강하지 않은, 유연하고 우아한 춤사위를 가지고 있다.
≪악학궤범≫ 및 한말의 ≪정재무도홀기 呈才舞圖笏記≫에 나오는 정재의 춤사위와 ≪시용무보 時用舞譜≫에 전하는 종묘제례 때 추던 일무, 즉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와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에 사용된 춤사위의 용어를 간추려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정재의 춤사위
정재에 사용되는 춤사위의 용어는 순한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동작 자체를 나타낸 것도 많지만 그 중에는 동작되는 장면을 추상적으로 상상하며 판단해야 할 시적인 용어로 표현된 것도 있어 해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용어를 ≪ 악학궤범≫과 ≪ 정재무도홀기≫를 중심으로 간추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과교선(過橋仙):〈춘앵전 春鶯囀〉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두 팔을 벌리고 좌우로 크게 세 번 돈다.
- 광수(廣袖):정재에서 한삼(汗衫)을 처리하는 방법의 하나. 첨수(尖袖)는 한삼 끝을 뾰족하게 잡는 데 반하여 광수는 한삼 끝을 말지 않고 한삼 생긴 모양대로 한다.
- 교선무(交旋舞):〈가인전목단 佳人剪牧丹〉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한쪽 대(隊)가 밖으로 돌면, 다른 한쪽 대는 안으로 돌며 춘다.
- 낙화유수(落花流水):〈처용무〉 · 〈춘앵전〉 등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두 팔을 좌우로 한번씩 들어 뿌리는 동작이다.
- 내수(內袖):외수(外袖)는 소매를 들어 어깨와 나란히 하여 가슴의 바깥쪽으로 대는 데 반하여 내수는 가슴 쪽으로 대는 춤사위.
- 내족(內足):손과 발을 쓰는 것으로, 왼쪽에 선 사람은 왼쪽이 내족이 되고, 오른쪽에 선 사람은 오른쪽이 내족이 된다.
- 대무(對舞):서로 마주보며 추는 춤이다.
- 대수(擡袖):〈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한 팔씩 장단에 맞추어 앞으로 내미는 동작이다.
- 대섬수(大閃袖):〈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한 팔씩 앞으로 얹는 동작으로 이수고저(以袖高低)와 같은 사위로, 번수(飜袖)라고도 한다.
- 도수아(掉袖兒):〈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오른팔과 왼팔을 번갈아가며 어깨에 원형(圓形)으로 얹는다.
- 무도(舞蹈):좌우 발장단을 떼는 동작. 보통 족도(足蹈)라고 한다.
- 반수반불(半袖半拂):한 팔씩 들어 뒤로 뿌리는 춤사위이다.
- 반수수불(半垂手拂):〈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한 팔씩 들어 뒤로 뿌리는 동작이다.
- 발바딧무:〈처용무〉 춤사위의 하나. 다섯 사람이 춤추며 나아가 나란히 줄을 지어 북쪽을 향하여 서는데, 청 · 홍 · 흑 · 백 처용은 모두 내족, 황(黃)은 우족(右足)으로 시작하여 나갈 때 발을 쾅쾅 구르며 춘다.
- 배무(背舞):서로 등을 대고 추는 춤. 일명 상배무(相背舞)라고도 한다.
- 번수(飜袖):〈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이수고저 또는 대섬수와 같은 동작이다.
- 불화렴(拂花簾):〈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한 팔씩 어깨에 메는 동작으로 좌우대수불(左右擡袖拂)로도 표현한다.
- 비금사(飛金沙):〈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뒷짐진 채 뒤로 세 장단 물러났다가 앞으로 세 장단 나갔다 하며 드나드는 사위이다.
- 비리(飛履):〈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오른발, 왼발의 순서로 한 발씩 장단에 맞추어 앞으로 내미는 춤사위.
- 발바딧 작대무(作隊舞):〈처용무〉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홍은 춤추며 물러나 남쪽에 서고, 흑은 춤추며 나가 북쪽에 서고, 청과 황과 백은 춤추며 제자리에 서 있는데, 황은 중앙, 청은 동쪽, 백은 서쪽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발바딧무의 춤사위에 따라 오방(五方)으로 대(隊)를 짓는 것을 발바딧 작대무라고 한다.
- 사번(乍飜):〈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소섬수(小閃袖)의 동작과 같다.
- 사예거(斜曳裾): 〈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오른쪽으로 두 장단 나갔다 들어오고, 왼쪽으로 두 장단 나갔다 들어온다.
- 산작화무(散作花舞):〈장생보연지무 長生寶宴之舞〉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협무(挾舞)가 삼지화(三枝花)를 들고 춤추는 동작이다.
- 산화작무(散花作舞):순조 때 창작된 〈장생보연지무〉제4변에서 협무가 삼지화를 들고 추는 춤사위이다.
- 상대무(相對舞):대무와 같다.
- 상배무(相背舞):배무와 같다.
- 소수수(小垂手):반수반불과 같다.
- 소섬수(小閃袖):〈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두 팔을 벌리고 드나드는데, 걸음에 따라 좌우수(左右袖)에 고저가 생기도록 흔드는 동작으로, 사번이라고도 한다.
- 수수무(垂手舞):족도하며 손을 떨어뜨리는 춤사위의 하나.
- 수수쌍불(垂手雙拂):〈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두 팔을 일(一)자형으로 벌려 북〔鼓〕소리를 듣고 반쯤 내렸다가 합장단소리〔雙聲〕에서 뒤로 뿌린다.
- 연귀소(燕歸巢):〈첨수무 尖袖舞〉 · 〈검무 劒舞〉 · 〈춘앵전〉 등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두 팔을 벌리고 뒷걸음질쳐 나간다.
- 연풍대(筵風擡):〈검무〉 · 〈첨수무〉 · 농악놀이 등에 나오는 춤사위. 연풍대의 특징은 무릎을 구부렸다 일어나면서 도는 것이 아니고, 허리를 뒤로 젖히며 유연하게 도는 것이다. 농악놀이에서는 허리를 뒤로 젖히며 공중에 떠서 빙빙 도는 점이 조금 다르다.
- 염수(斂手):광수가 소매 끝을 말지 않고 소매모양대로 두는 데 반하여 염수는 소매 끝을 뾰족하게 말아 잡는 춤사위.
- 외수(外袖):소매를 들어 어깨와 나란히 하여 가슴의 바깥쪽으로 대는 춤사위. 외수는 광수가 되며, 내수는 안에 있고 외수는 밖에 있다.
- 외족(外足):왼쪽에 선 사람은 오른쪽이 외족이 되고, 오른쪽에 선 사람은 왼쪽이 외족이 된다.
- 요수(搖袖):한 팔씩 앞으로 미는 동작으로 이수고저와 같다.
- 우정수(右呈手):〈향령무 響鈴舞〉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좌정수(左呈手)의 사위와 반대로 이마 쪽으로 왼팔을 활 모양으로 구부리고, 오른팔은 수평을 지은 자세로 장단을 따라 방울을 흔드는 동작이다.
- 우타장(右打場):〈향령무〉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좌타장(左打場)의 반대 동작으로 앞의 합선(合蟬)의 자세에서 오른손만 아래로 떨어뜨린 다음, 좌우수로 계락(界樂)장단을 따라 방울을 흔든다.
- 원화무(圓花舞):〈가인전목단〉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가운데 놓여 있는 꽃을 향하여 춤동작으로 원을 그리며 춘다.
- 이수고저(以袖高低):〈춘앵전〉 · 〈가인전목단〉등의 정재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진퇴(進退)하면서 한 팔씩 올렸다 내리는 동작이다.
- 인무(人舞):손에 아무것도 들지 않고 맨손으로 추는 춤.
- 저앙수(低昻袖):이수고저와 같은 춤사위. 한 팔씩 앞으로 넘기는 동작이다.
- 전화지(轉花持):〈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뒤로 두 팔을 벌리고 한 발씩 들고 솟아 뛰는 동작이다.
- 절요이요(折腰理腰):〈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두 팔을 앞으로 지어 여미고 족도하는 동작인데 수수무와 같다.
- 족도(足蹈):좌우 발장단을 떼어 옮기는 동작. 무도라고도 한다. 정재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동작으로, 족도할 때 발바닥을 보이지 않는 것이 원래의 법도이다. 족도할 때에는 무릎을 구부렸다 껑충 들어 옮겨서는 안 되며, 허리에서부터 부드럽게 그리고 무겁게 다리에 흐르는 곡선을 지어야 한다.
- 좌우소전(左右小轉):좌우로 각각 반씩 도는 춤.
- 좌정수(左呈手):〈향령무〉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오른팔을 활모양으로 이마 쪽으로 구부리고 왼팔은 수평을 지은 자세로 장단을 따라 방울을 흔드는 동작이다.
- 합선(合蟬):〈향령무〉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매미날개와 같이 두 팔을 이마에 가져다 팔을 꺾고 손을 앞으로 꺾는 모양이다.
- 좌타장(左打場):〈향령무〉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앞의 합선의 자세에서 왼손만 아래로 떨어뜨린 다음, 좌우수로 계락장단을 따라 방울을 흔든다.
- 수양수오방무(垂揚手五方舞):〈처용무〉 춤사위의 하나. ≪악학궤범≫ 〈처용무〉에 전하는 춤사위의 하나로 수양수 발바딧무 다음의 동작이다. 황(黃)은 북쪽을 향하여 대무하는데, 오른손을 먼저 들되 좌우수 모두 두번씩 하고, 흑(黑)은 중앙을 향하여 추되 왼손을 먼저 들어 역시 좌우수 두 번씩 하고, 네 번째 손에서 장구가 첫 채〔鞭〕를 치면 청(靑)은 춤동작을 하고, 장구가 뒷북을 치면 흑(黑)이 손을 떨어뜨린다. 다른 방위의 무자(舞者)와의 대무도 이와 같이 한다.
- 척요(尺腰):〈향령무〉 제2박의 춤사위. 여섯 사람이 모두 손을 떨어뜨리고 좌우 발을 각각 두번씩 족도한다.
- 첨렴(尖斂):손을 여미되, 한삼 끝을 말아 뾰족하게 잡는 사위.
- 타원앙장(打鴛鴦場):〈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셋째걸음을 나간 다음, 합장단에서 팔을 힘차게 뒤로 뿌리는 동작으로, 탑수라고도 한다.
- 탑수(塔袖):〈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타원앙장의 동작과 같다.
- 탑탑고(塔塔高):〈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앞으로 세 걸음 나가는 춤사위이다.
- 풍류지(風流枝):〈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두 팔을 여미고 수수무하는 동작이다.
- 합정수(合呈手):〈향령무〉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좌우의 팔을 어깨로 들어 수평을 짓고 장단에 따라 방울을 흔드는 동작이다.
- 화전태(花前態):〈춘앵전〉에 나오는 사위의 하나. 이를 드러내지 않고 우아한 모습으로 살짝 웃는 동작이다.
- 환화무(歡花舞):〈가인전목단〉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가운데에 놓여 있는 꽃을 희롱하다가 꽃가지를 꺾어들고 반(盤)에 굴리며 즐겁게 추는 춤이다.
- 홍정(紅程)도돔무:〈처용무〉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사행형(蛇行形)으로 나가면서 추는 춤이다.
- 회무(回舞):빙빙 돌면서 추는 춤.
- 회두(回頭):〈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한 팔씩 들며, 드는 팔 쪽을 돌아다보는 동작이다.
- 회란(廻鸞):〈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팔을 어깨높이와 나란히 벌리고 좌우로 크게 한 번씩 도는 동작이다.
- 회선무(回旋舞):돌면서 추는 춤. 회무와 같다.
- 회파신(廻波身):〈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두 팔을 벌리고 좌우로 한번씩 도는 동작이다.
- 후포수(後抛袖):〈춘앵전〉에 나오는 춤사위의 하나. 한가운데서 두 팔을 뒤로 뿌리는 동작으로, 대수후불(擡袖後拂)이라고도 한다.
일무의 춤사위
일무에는 두 가지 종류가 전한다. 그 하나는 종묘제향 때 쓰이는 육일무(六佾舞)와 문묘제향에 쓰이는 팔일무(八佾舞)가 있다.
이 두 가지 일무는 각각 문무(文舞)와 무무(武舞)로 구분된다. 문묘에 사용되는 팔일무 춤사위에는 이름이 없으나, 종묘에 쓰이는 육일무 춤사위 이름은 일반 궁중정재에서 쓰는 춤사위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 사위 이름도 궁중정재와 많이 다르다.
종묘일무의 춤사위 이름은 ≪시용무보≫에 전하고, 현재도 이에 바탕하여 전승되고 있다. ≪시용무보≫에 전하는 종묘제향 때 추던 일무, 즉 보태평지무와 정대업지무에 쓰인 춤사위 용어는 다음과 같다.
보태평지무 춤사위 용어
- 합흉(合胸):상반신을 약 45도 각도로 굽히고, 두 손을 가슴 가운데에 붙이되 오른손으로 왼손을 덮는다.
- 하수(下垂):합흉에서 손을 내려 몸에서 약 45도 가량 옆으로 뗀다.
- 점흉(點胸):손을 가슴 가운데에 댄다.
- 외거(外擧):하수에서 손을 옆으로 차차 들어올리되, 어깨에서 약 2∼3㎝ 가량 내려뜨린다.
- 거견(擧肩):외거에서 팔을 들어 뒤로 짓되 수평을 이룬다.
- 수복(垂腹):거견의 자세에서 허리를 굽히며 손을 얼굴 앞으로 들어 아랫배에 댄다.
- 환거(還擧):수복의 자세에서 다시 외거하여 거견에 이르는 동작이다.
- 외휘(外揮):팔을 들어 얼굴 앞을 거쳐 밖으로 두르며 허리를 굽히고, 다리를 들었다가 내리는 동작. 두른 팔은 아랫배 쪽으로 온다.
- 점유(點乳):손을 젖가슴에 붙인다.
- 양수거견(兩手擧肩):두 손을 함께 모아접어 어깨로 올리는 동시에 오른쪽 다리를 들었다가 허리를 굽히며 손과 발을 함께 내린다.
- 인흉(引胸):바로 서서 두 손을 가슴 앞으로 가까이 끌어들인다.
- 양수하수(兩手下垂):두 손을 모아 허리를 비스듬히 굽히며 내린다.
- 양수환거(兩手還擧):두 손을 모아 환거의 동작을 짓는다.
- 복파(腹把):양수환거의 자세에서 두 팔을 좌우로 약 30도 가량 벌려 하수한다.
- 절견(折肩):두 손을 얼굴 앞으로 모아 구부려 짓되, 팔꿈치가 들린다.
- 견파(肩把):두 팔을 얼굴 앞으로 서서히 모아들이되, 반달모양을 짓는다.
- 하견(荷肩):두 팔을 좌우로 벌려 일직선을 만든다.
- 할협(割脥):두 손을 아래 가슴에서 교차하되, 주먹이 위를 향한다.
- 양수인협(兩手引脥):두 팔을 높이 들어 옆으로 넘기며, 한쪽 발을 앞으로 약 10㎝ 가량 내딛고 허리를 뒤로 잰다.
- 점복(點腹):주먹이 아래로 향하게 하여 오른손으로 왼손을 덮어 배에 붙인다.
- 사직지(斜直指):바로 서서 한쪽 팔은 위로, 한쪽 팔은 아래를 가리키되, 비스듬히 직선을 이룬다.
- 편직지(片直指):사직지에서 아래를 가리키는 동작이 빠진 것이다.
- 추전(推前):바로 서서 두 손을 뒤로부터 앞으로 내민다.
- 추후(推後):허리를 굽히고 두 손을 뒤로 붙인다.
정대업지무 춤사위 용어
- 발검(拔劒):허리를 굽히고 칼을 든 오른손을 내리되, 몸에서 약 40도 가량의 자세로 한다.
- 추비(推臂):팔을 비스듬히 위로 향하여 곧게 뻗는다.
- 신비(伸臂):팔을 머리 위로 들어 다시 신비 자세를 만든다.
- 환비(還臂):팔을 머리 위로 돌려 다시 신비자세를 만든다.
- 타견(打肩):손에 쥔 칼을 들어 어깨를 치는 시늉을 한다.
- 번검(翻劒):칼을 든 손을 구부려 어깨까지 올리되, 칼이 뒤를 향하도록 한다.
- 번거(翻擧):칼을 들지 않은 왼손 주먹을 구부려 어깨까지 올리되, 주먹이 뒤를 향하도록 한다.
- 점슬(點膝):허리를 굽히고, 두 손을 무릎에 붙인다. 다리는 약 10㎝ 가량 든다.
- 양수점슬(兩手點膝):점슬의 동작과 같은 동작이다.
- 할검(割劒):할협과 같은 동작이며, 칼을 든 오른손이 위로 향하도록 한다.
- 할권(割拳):왼손이 위로 간 할협의 자세와 같다.
- 절번(折翻):좌우의 팔을 어깨에서 약 2㎝ 가량 쳐들어 팔꿈치를 구부려 들고, 주먹을 뒤로 비튼다.
- 외파(外把):두 팔을 좌우로 하수하며, 다시 아랫배로 두 손을 모아들인다.
- 후불(後拂):두 손을 뒤로 뿌리며, 허리를 들어 굽힌다.
- 거휘(擧揮):두 손을 모아 밖으로 돌려(왼쪽에서 시작하면 오른쪽으로, 오른쪽에서 시작하면 왼쪽으로) 비스듬히 왼쪽 위편을 가리킨다. 거견외휘(擧肩外揮)라고도 한다.
- 양수하견(兩手荷肩):두 팔을 모아 한 옆으로 곧게 뻗는다.
- 슬상내휘(膝上內揮):허리를 구부리고 두 손을 모아 무릎 위에서 안으로 둘러 서면서 어깨 아래에 놓는다. 오른쪽으로 두르면 왼편 어깨 쪽으로 된다.
- 전수(前垂):허리를 굽히며 두 손을 앞에서 아래로 내린다.
- 절견하(折肩下):절견과 같으나, 다만 팔꿈치가 처지는 동작이다.
- 복비(覆臂):바로 서서 두 손을 배에 교차하되, 주먹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다.
- 자공(刺空):복비 동작에서 왼손 주먹으로 하늘을 찌르는 시늉을 한다.
- 인슬(引膝):두 손을 모아 무릎 쪽으로 4, 5㎝ 떼어 당기되, 다리는 든다.
- 복검(覆劒):칼을 든 손을 겉으로 하여 두 손을 배에서 들었다 덮는다.
- 복권(拳):왼손을 겉으로 하여 손을 배에서 들었다가 덮는다.
- 슬파(膝把):허리를 굽히고, 한쪽 발꿈치만 들어 무릎을 올리며 두 손을 모아댄다.
- 궤좌슬(跪左膝):왼발을 세우고 오른발을 꿇고 앉되, 두 손을 왼쪽 무릎 위에 모아놓는다.
- 기립(起立):오른손을 겉으로 하여 두 손을 배에 댄 채 허리를 펴며 일어선다.
- 하슬(下膝):허리를 굽히며 한 무릎편으로 두 손을 모아 내린다.
- 점슬(點膝):바로 서서 두 손을 모아 한쪽 허리에 가져간다.
- 환치(還置):앞의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특징
정재춤사위의 특징은 민속춤의 춤사위와 비교하면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몇 가지 중요한 요소를 간추려보면,
- 민속춤에 비해 비교적 유장하고 장엄한 음악반주와 느린 장단에 따라 동작하므로 춤사위도 유려하고 우아하다.
- 민속춤의 의상은 소박하고 단순한 데 비하여 정재는 관복이 화려하고 거창한 관계로 자연 춤사위에 제약을 주고 있다.
- 민속춤은 일부 독무(獨舞)를 제외하고 대부분 놀이에 속하기 때문에 춤사위가 자유분방하나, 정재는 짜여진 틀 속에서 군무(群舞)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관계로 규칙적이고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음악과 관복 등의 제약과 선비정신의 절제 등이 복합작용하여 정재의 춤사위는 표출이 강하지 않고, 절도 있는 품위를 유지하려는 까닭으로 유연하고 우아한 춤사위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