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석집 ()

목차
관련 정보
난석집
난석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박창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9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박창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1책. 석인본. 1959년 증손인 승효(勝孝)·승직(勝稷)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문옥(金文鈺)의 서문과 권말에 승직의 발문이 있다. 단국대학교 도서관과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524수, 소 2편, 부(賦) 1편, 표(表) 3편, 의(義) 1편, 치제문(致祭文) 1편, 격문(檄文) 1편, 탑전일기(榻前日記) 2편, 경연소대(經筵召對) 3편, 경연일기(經筵日記) 5편, 권4에 대서(代書) 1편, 내서(來書) 1편, 잡저 1편, 권5에 서(序) 2편, 발 3편, 행장 1편, 묘갈명 2편, 묘표 1편, 권6은 부록으로 행장·묘갈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어렵고 생소한 어휘를 사용하여 난해한 편이다. 「차수미음(次首尾吟)」·「차두고정운(次杜孤亭韻)」·「기월파(寄月坡)」 등은 상상의 시로, 우리나라에 없는 원숭이, 장자의 제물론과 중국의 경수·위수 등을 인용하는 등 그 소재가 다양하다.

「탑전일기」는 철종의 장지 물색과 고종의 왕위계승을 둘러싸고 대왕대비와 대신들 사이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경연소대」와 「경연일기」도 고종 즉위초 대왕대비가 수렴청정할 때의 일을 상세히 기록한 것으로, 당시의 정치·사회의 상황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된다.

「치제문」은 왕명으로 이황(李滉)의 사판(祠板)에 대하여 제사지낸 것이며, 그의 학문과 도덕을 찬양하고 국가에 끼친 공로를 치하하였다. 「내서」는 일본에서 대마도도주를 시켜 우리나라 예조참의에게 보낸 글로, 국교에 대한 절차 등을 문의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영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