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희 ()

치암문집
치암문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사헌부감찰, 병조좌랑,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은(仲殷)
치암(癡菴)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48년(영조 24)
사망 연도
1812년(순조 12)
본관
영양(英陽)
주요 관직
정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사헌부감찰, 병조좌랑,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중은(仲殷), 호는 치암(癡菴). 할아버지는 남국선(南國先)이고, 아버지는 남용만(南龍萬)이며, 어머니는 유의건(柳宜健)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77년(정조 1) 국왕의 즉위기념 증광시(增廣試)에 합격, 진사가 되었고, 동시에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1788년경부터 승문원박사·성균관전적·사헌부감찰·병조좌랑을 거쳐 사간원정언에 이르렀다.

1791년 사직하고 고향인 경상도 경주 보문리로 돌아온 뒤부터는 정범조(丁範祖)·이익운(李益運) 등의 정치참여 권유도 뿌리치고 스스로 은거하였다.

자신을 소강절(邵康節)에 비유하여 영호(影湖)에 지연계당(止淵溪堂)을 지어 생도들을 가르치고, 봄·가을에는 사우(士友)들과 강회(講會)를 열면서 유유자적하였다.

어느날 독서를 하고 있을 때 부인이 곁에 와서 양식이 떨어졌다고 하였으나 묵묵부답하였고, 또 집안일을 말해도 응답하지 않았다. 그러자 이를 보고 있던 다섯살 난 어린 딸이 어머니에게 왜 못난 사람과 말하느라 고생하느냐고 하였으므로 자기도 모르게 실소(失笑)를 하고는, 그뒤 자신도 돌보지 못하면서 민생이니 세도를 걱정하는 어리석은 사람이라 하여 스스로 치암이라 호하였다 한다.

8세 때 『십구사략(十九史略)』을 읽고 비평할 정도의 재능을 보였으며, 이상정(李象靖)에게서 학문을 배우고 의리에 투철하여 『근사록(近思錄)』과 『맹자의난(孟子疑難)』을 애독하였다. 이만운(李萬運)과 세교(世交)가 있었고, 이기경(李基慶)·이우(李㙖)·한치응(韓致應) 등과 가깝게 지냈다. 저서로 『치암문집』12권 6책이 전한다.

참고문헌

『국조방목(國朝榜目)』
『치암문집(癡菴文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