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산리 여드렛당 ( 여드렛)

목차
관련 정보
남제주 토산리 여드렛당
남제주 토산리 여드렛당
민간신앙
유적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있는 마을의 수호신인 뱀신을 모신 신당.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있는 마을의 수호신인 뱀신을 모신 신당.
내용

여드렛당은 제일(祭日)이 매 8일(8일·18일·28일)인 데서 명명된 것이다. 알토산(지금의 토산2리)에 있으므로 웃토산(지금의 토산1리)에 있는 이렛당과 구별하기 위하여 ‘토산알당’이라 부르기도 한다. 특히, 뱀신을 모시는 당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뱀신을 모시다가 중단하면 갖가지 재앙이 일어나 집안이 망한다고 한다.

또한, 뱀신은 마을사람들의 딸에서 딸로 계승되어 딸이 시집갈 때 그 뒤를 따라가 모심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어 다른 마을 사람들은 “토산 귀신이 따라온다.”고 하며 그들 집안에 장가들기를 꺼리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당은 토산리의 당들을 대표하는 당처럼 인식되어 ‘토산당’이라 부르기도 한다. 당은 토산2리 마을 안 속칭 ‘당동산’이라는 데 있었는데, 일제강점기 미신타파시책으로 당을 허물고 굿을 금지한 이래 돌보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는 당의 울타리였던 잡목과 제단으로 썼던 돌 등 자취만 남아 있다.

당에 뱀신을 모시고 제의를 하게 된 유래는 본풀이에서 설명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나주(羅州) 금성산에 영기 있는 신령이 있었다. 이 고을에 목사(牧使)가 부임하면 해마다 파직이 되어 목사로 갈 사람이 없던 차에, 한 용감한 목사가 자원하여 부임했다.

부임 도중 금성산 앞을 지나가려고 하니 통인이 이 산에는 영기 있는 신령이 있으니 하마(下馬)할 것을 권하였다. 그대로 지나가면 말이 발을 전다는 것이다.

목사는 무당을 불러 굿을 하고 신령을 보이라고 했다. 굿을 하자 쉰 댓 자 머리를 드리운 처녀가 나타나니, 목사는 인간이 무슨 신령이 있겠느냐 하며 참된 신령을 보이라고 했다.

이번에는 아가리를 벌린 큰 뱀으로 변하여 꿈틀거리며 나타나니, 목사는 여의주를 물지 않았으므로 신이 아니라 하여 포수를 시켜 쏘아 죽이고 불살라버렸다. 그랬더니 뱀은 바둑돌로 변하여 서울 종로 네거리에 날아가 있었다.

이 때 제주에서는 강씨 형방·한씨 이방·오씨 형방 세 사람이 서울에 진상하러 갔다가 이 바둑돌을 주워 소중히 간직했는데, 진상도 수월히 잘되고 보답도 많이 받았다.

그들이 배를 타고 귀로에 오를 때에는 쓸데없는 것이라고 하여 그 바둑돌을 던져버렸더니 바람이 막혀 배를 띄울 수가 없었다. 문점을 하고 굿을 하니 순풍이 일어 항해가 좋아졌는데, 오다 보니 어느 사이에 바둑돌은 뱃장 밑에 와 있었다.

배가 제주도의 성산읍 온평리에 닿자, 바둑돌은 곧 여인으로 변하여 상륙하고 온평리 본향당신 ‘맹호부인’에게 인사를 드렸더니, 맹호부인은 모든 마을에 차지한 신이 있으나 토산리가 하나 비어 있으니 거기로 가라고 지시해 주었다.

그녀는 지시대로 토산리로 가서 ‘메뚜기마루’에 좌정하여 얼마 동안을 기다렸으나 누구 한 사람 위하러 오는 자가 없었다. 그러던 어느날 강씨 형방 딸이 계집종을 데리고 ‘올리소’에 빨래를 하러 갔다. 때마침 바다에는 왜선이 오고 있었는데, 이 신이 강풍을 일으켜 배를 파선시켰다.

파선을 당한 왜놈들은 뭍으로 올라와 강씨 형방 딸을 발견하여 뒤쫓았고, 강씨 처녀와 그 종은 도망가 숨었으나 결국 왜놈에게 윤간을 당하여 모두 죽었다.

그 뒤 얼마 있어 한씨 이방 딸이 시집을 갔는데, 유월 방아를 찧다가 광증을 일으켜 죽게 되었다. 문점(問占: 무꾸리)을 하니 토산의 당신을 위하지 않은 탓이라 하므로 큰 굿을 차려 굿을 하니, 죽어가던 처녀가 일어나, “나를 살리려는 굿이면 궤 속의 명주를 꺼내어 방울을 맺어놓고 내 맺힌 가슴을 풀어달라.”고 했다.

명주를 꺼내 보니 그 속에서 말라붙은 작은 뱀들이 나왔다. 그 명주로 방울을 맺어 풀면서 신을 놀리니 환자의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이런 연유로 해서 강씨는 상단골, 한씨는 중단골, 오씨는 하단골이 되어 당신으로 위하게 되었고, 이들 집안의 딸에서 딸로 계승되어 씨족수호신인 ‘일월조상’으로도 모시게 되었다.

이런 유래를 근거로 하여 당신에 대하여 굿을 할 때에는 본풀이를 노래한 후 ‘방울풂’이라고 하여, 무명이나 광목으로 고를 여러 개 맺어놓고 그것을 들어 춤추다가 세게 흔들어 고를 풀어내고, 또 동그랗게 감아놓아 마치 감아 앉은 뱀같이 만들어 놓는 행사를 한다.

일제강점기 때까지는 이 당에서 6월 8·18·28일과 11월 8·18·28일에 마을굿을 벌여왔는데, 지금은 토산2리 바닷가에서 6월 18일과 11월 18일에 일부주민이 모여 소규모의 의례를 행하고 있을 뿐이다. 토산리 여드렛당과 본풀이가 같고 계통이 같은 여드렛당은 제주도의 동반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즉, 제주시와 서귀포시 각 읍면동의 마을들에 여드렛당이 점점이 분포되어 있다. 이들 당의 신명(神名)은 ‘여드레한집’·‘여드렛도’·‘토산한집’ 등이라 부르며, 제일은 매 8일로 되어 있어 토산리 여드렛당의 분파임이 분명하다.

이러한 당을 ‘가짓당’이라고 하는데, 여드렛당의 가지당이 이렇게 널리 분포된 것은 이 당의 신앙민인 단골의 이주와 혼인으로 인한 계승·확산 등이 그 원인이라 생각되고 있다. 여드렛당 신앙은 제주도 민간신앙의 특색인 뱀신앙을 나타내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제주도무속연구』(현용준, 집문당, 1986)
『남국의 무가』(진성기, 제주민속연구소, 1960)
『朝鮮巫俗の硏究』 上(赤松智城·秋葉隆, 大阪 屋號書店, 193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현용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