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

목차
고대사
인물
초기국가시대 위만조선의 조선상을 역임한 관리. 반역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BC 108년
주요 관직
조선상(朝鮮相)
목차
정의
초기국가시대 위만조선의 조선상을 역임한 관리. 반역자.
내용

고조선의 토착세력 출신으로 위만조선의 중앙정부에 참여하여 조선상(朝鮮相)의 관직을 지냈다. 서기전 109년 한무제(漢武帝)의 군대가 위만조선을 침략하였을 때 상 한음(相韓陰), 이계상 삼(尼谿相參), 장군 왕겹(王唊) 등과 함께 주화론(主和論)을 주장, 우거왕(右渠王)에게 항복을 건의하였다.

그러나 이 건의가 거부되자 서기전 108년 4월 한음·왕겹과 함께 왕검성(王儉城)을 탈출하여 적군에 투항하였는데, 도중에 사망하였다.

한편, 아들 최(最)는 이보다 앞서 한(漢)나라에 투항하였는데, 우거왕이 살해된 뒤 최후까지 항거하는 고조선의 대신 성기(成己)를 암살하는 데 공을 세워 뒤에 한나라에 의하여 열양후(涅陽侯)에 봉해졌다.

참고문헌

『사기(史記)』
『고조선사연구(古朝鮮史硏究)』(이종욱, 일조각, 1993)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이병도, 박영사, 1976)
『古代東アジア史硏究』(三上次男, 1966)
「위만조선관계(衛滿朝鮮關係) 중국측사료(中國側史料)에 대한 재검토(再檢討)」(김한규, 『부산여자대학논문집(釜山女子大學論文集)』, 1980)
「위씨조선흥망고(衛氏朝鮮興亡考)」(이병도, 『서울대학교논문집』 4-인문사회과학, 1956)
「古代の西北朝鮮と衛氏朝鮮國の政治·社會的性格」(三上次男, 『中國古代の諸問題, 1954)
집필자
김용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