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복윤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황주목서기, 동경유수판관, 행대영령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이칭
김복윤(金福允)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46년(의종 즉위년) 7월
본관
옥과(玉菓)
출생지
개성
주요 관직
황주목서기|동경유수판관|행대영령
정의
고려 전기에, 황주목서기, 동경유수판관, 행대영령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옥과(玉菓: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 증조는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를 지낸 김행창(金行昌)이고, 할아버지는 감찰어사(監察御史)를 지낸 김진(金瑨)이며, 아버지는 시합문지후(試閤門祗侯) 김순차(金舜次)이다. 김복윤(金復尹)의 가문은 증조대부터 중앙에 진출한 신흥가문으로 보인다. 부인은 상서우복야 상장군(尙書右僕射 上將軍) 정정숙(鄭旌叔)의 딸 정씨(鄭氏)이다. 아들로 김대절(金大節)과 김정필(金正弼)이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118년(예종 13) 현과(賢科)에 제1등으로 급제하였는데, 현과는 고려시대 과거의 본고시인 예부시(禮部試)의 다른 이름이다. 『고려사(高麗史)』선거지(選擧志)와 세가(世家)에는, 예종 13년 5월에 김복윤(金福允) 등 23명에게 급제를 주었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여기서의 김복윤(金福允)은 묘지명(墓誌銘)에 적혀 있는 김복윤(金復尹)과 동일한 인물임이 분명하다.

김복윤은 급제 후 황주목서기(黃州牧書記)에 임명되었다. 이후 차지후(借祗侯)로서 동경유수판관(東京留守判官)이 되어 학사(學事)를 담당하였으며, 상식봉어동정(尙食奉御同正), 행대영령(行大盈令) 등의 관직을 거쳤다. 1146년(의종 즉위년) 7월에 사망하였는데, 3년 뒤인 1149년(의종 3)에 개성 동북쪽 마천(馬川) 남쪽 기슭에 장례지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묘지명집성: 제5판』(김용선,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고려시대 음서제와 과거제 연구』(박용운, 일지사, 1990)
집필자
김용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