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제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제사묘직, 군기주부, 금오위녹사참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14년(고종 1)
본관
천안(天安)
출생지
개성
주요 관직
관성현위|제사묘직|군기주부|금오위녹사참군사
정의
고려 후기에, 제사묘직, 군기주부, 금오위녹사참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천안(天安). 아버지는 검교소감(檢校少監) 김지성(金之成)이며,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다. 상의봉어(尙衣奉御)를 역임한 □공언(□公彦)의 딸과 결혼하여 2남 4녀를 두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진사시(進士試, 司馬試)에 합격한 뒤 국학(國學) 7재(七齋)의 하나인 복응재(服膺齋)에 입학하였다. 이후 관성현위(管城縣尉), 제사묘직(諸社廟直), 군기주부(軍器注簿), 김포현령(金浦縣令)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김포현령으로 재직 시 권세가들의 횡포를 억제하고 피폐해진 백성들을 일으켜서 하나같이 새롭게 하였다. 금오위녹사참군사(金吾衛 錄事參軍事)에 올랐다. 1214년(고종 1)에 60여 세의 나이로 사망하자, 고율사(古栗寺) 북쪽 골짜기의 산기슭에 장례지냈다.

참고문헌

『고려묘지명집성: 제5판』(김용선,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김윤제 묘지명」(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 제5판』,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집필자
김용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