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규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대관령, 공역령, 상식직장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095년(헌종 1)
사망 연도
1158년(의종 12)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개경
주요 관직
군기주부|대관령|공역령|상식직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전기에, 대관령, 공역령, 상식직장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신라 마지막 임금 경순왕의 후손이다. 증조는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 김주정(金周鼎)이고, 할아버지는 호부시랑(戶部侍郞) 김의선(金義先)이며, 아버지는 내원령(內園令) 김후백(金侯伯)이다. 장인은 대부소경(大府少卿) 전세균(田世均)이다. 부인 전씨(田氏)와의 사이에 3남 2녀를 두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20세 되던 1114년(예종 9)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다. 김유규는 병서(兵書)를 즐겨 읽고 무예를 연마했는데, 27세 때인 1121년(예종 16)에 무학시(武學試)를 치러 제2등으로 급제하였다. 고려는 1109년(예종 4)에 국학(國學)에 7재(七齋)를 설치하면서 무학(武學)을 강의하는 강예재(講藝齋)를 두었고, 1120년에는 무학생(武學生)을 대상으로 하는 무학시를 실시하다가 1133년(인종 11)에 폐지하였다. 김유규는 국학 7재의 강예재 출신으로서 무학시에 합격한 것이다.

급제 후 용만부통판(龍灣府通判)으로 나아갔다. 3년의 임기를 채운 뒤 여러 해 동안 관직 없이 지내다가 천거를 받아 중국에 사절단으로 다녀왔다. 이후 군기주부(軍器注簿), 대관령(大官令), 선성(宣城) 수령, 공역령(供驛令) 등을 거쳐 정7품인 상식직장(尙食直長)에 올랐다. 1158년(의종 12)에 64세의 나이로 사망하자, 도원역(桃園驛) 남쪽 골짜기의 서쪽 산기슭에 장례지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김유규 묘지명」(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 제5판』,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신자료 고려묘지명 17점」(김용선, 『역사학보』117, 198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