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기 녹유 탁잔 ( )

목차
관련 정보
도기 녹유 탁잔
도기 녹유 탁잔
공예
유물
국가유산
통일신라시대의 도기 탁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도기 녹유 탁잔(陶器 綠釉 托盞)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녹유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7년 06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통일신라시대의 도기 탁잔.
내용

196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구연(口緣)이 외반되고 넓게 벌어진 접시는 측면선이 완만한 곡선이며 밑에는 넓고 납작한 받침대가 있다. 접시 안쪽의 중심부에는 높이 솟은 통형(筒形)의 잔받이가 있어 잔의 굽다리를 고정시켜준다.

잔 바닥에도 좁고 높은 받침대가 부착되어 접시의 잔받이에 들어가 얹히도록 하였다. 잔 뚜껑 중심에는 보주형(寶珠形)의 꼭지가 달려 있는데, 이 꼭지의 주변은 거의 편평한 면을 이루다가 다시 45°정도의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구연에 이르고 있다. 장식의장은 단순하여 문양이 없고 잔의 구연부와 하부에는 각기 두 줄씩 음각횡대선(陰刻橫帶線)을 돌렸으며, 접시의 안쪽면 가장자리에도 두 줄의 음각선을 돌렸다.

수비(水飛 : 흙을 물 속에 넣고 휘저어서 잡물을 없애는 일)가 잘된 양질의 태토(胎土)가 사용되었으며 황록색의 유약이 두껍게 시유되어 비교적 고른 유조(釉調)를 보여준다. 반면에 연질(軟質)이어서 유가 탈락되어 태토가 노출된 부분이 많으며, 특히 뚜껑의 유약은 대부분 떨어져나간 상태이다. 태토의 색조는 잔은 붉은색이고 받침은 흰색이며 녹유에는 은화현상(銀化現象)이 보인다.

출토지와 제작 장소를 알 수 없으나 무령왕릉 출토의 동탁은잔(銅托銀盞)과 형태상 매우 비슷하다. 그러나 이러한 잔의 모양은 통일신라시대의 청동기에도 보이므로 7세기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보물 5(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국보』청자·토기(최순우 편, 예경산업사, 1983)
『世界陶磁全集』韓國古代(東京 : 小學館, 197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