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암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여사백의 눌암유고 중 표지
여사백의 눌암유고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여사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여사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924년 아들 영호(永鎬)·달호(達鎬)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준필(宋浚弼)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채희동(蔡熙東)과 달호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54수, 권2에 서(書) 17편, 제문 7편, 잡저 5편, 권3은 부록으로 유사·유사후지(遺事後識)·가장·행장·묘지명·묘갈명·수갈고문(豎碣告文)·만(挽)·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우음(偶吟)」은 항상 바른 행실에 힘쓸 것을 강조한 계행시(戒行詩)이다. 「수수음(水水吟)」은 은일적 생활을 표현한 일종의 산수시(山水詩)로 수수(水水)와 산산(山山), 인인(人人)과 물물(物物) 등 대구가 볼만하다. 시어가 평이하면서도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자연스럽게 묘사하고 있다. 이밖에 「춘일(春日)」이나 「매계귀로행가(梅溪歸路行歌)」·「좌천상(坐泉上)」 등에도 그의 서정적 감회가 잘 드러나고 있다.

서(書)는 일반적인 문안 편지가 대부분이다. 잡저의 「종구자연의부해(從口字衍義附解)」는 ‘구(口)’자가 들어간 여러 가지 글자의 의미를 해설한 것으로, 마음을 경계하는 자료로 삼으려는 뜻이 담겨 있다.

이밖에 잡저에는 각종 계(稧)의 취지에 대한 서(序)가 있다. 그 중 「미수계서(眉壽稧序)」는 1890년(고종 27) 시회(詩會)를 조직하면서 쓴 것이다.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