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봉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우규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우규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2책. 목판본. 1934년 후손 효봉(孝鳳)이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4에 부 2편, 시 275수, 권5에 서(書) 24편, 잡저 10편, 권6에 서(序) 19편, 기 13편, 권7에 발 2편, 명 3편, 표 3편, 논 3편, 설 5편, 제문 4편, 애사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부에는 「담정부(淡情賦)」가 있는데, 이는 장형(張衡)의 「정정부(定情賦)」 또는 채옹(蔡邕)의 「정정부(靜情賦)」, 도잠(陶潛)의 「한정부(閒情賦)」와 견줄 만한 명문으로 평가되고 있다. 시에는 권선징악을 바탕으로 한 교훈적인 것이 많다.

서(書)에는 오랜 친구인 당대의 석학 전우(田愚)와 경학(經學)에 관하여 편지로 서로 토론한 내용도 들어 있다. 잡저에는 「지수문답(志帥問答)」과 「와룡정상량문기(臥龍亭上樑文記)」·「증이건용권학문(贈李建用勸學文)」·「유계룡산기(遊雞龍山記)」·「청사시집서(靑士詩集序)」 등 교양적인 글들이 많다.

집필자
이순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